•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개인 위생이 강조되면서 손소독제의 수요가 늘고 있으나, 인체에 사용할 수 없는 살균·소독제품을 손소독제처럼 표시해 판매한 사례가 확인돼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손소독 효과를 표시한 제품을 모니터링한 결과, 일부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및 ‘살균제(살생물제품)’를 인체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손소독제처럼 표시*한 사실이 확인돼 개선을 요청했다.

   * 손소독제 오인 표시 :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5개 제품(48건), ‘살균제’ 6개 제품(429건)

※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는 식품조리기구·용기·포장의 살균·소독을 위해, ‘살균제’는 생활 공간의 살균·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인체에 직접 사용할 수 없음.

또한 에탄올을 주성분으로 한 겔(gel) 타입의 ‘손세정용 제품’*도 의약외품 허가를 받지 않았음에도 소독·살균 효과가 있는 것처럼 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제품들은 사용 후 물로 씻어내지 않아 손소독제***와 형태 및 사용방식이 유사하지만, 소독·살균 등의 의학적 효능은 담보할 수 없다.

   * ‘손세정제’, ‘핸드클리너’, ‘클린젤’ 등의 제품명 사용

   ** 소독·살균 효과 오인 표시 : ‘겔 타입의 손세정용 화장품’ 6개 제품(135건)

   *** '손소독제’는 「의약외품 범위지정」(식약처고시 제2019-86호)에 따라 의약외품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의약외품이 아닌 제품에는 살균·소독 등의 표시를 할 수 없음.

한국소비자원은 제품 판매페이지에 소비자들이 손소독제로 오인할 수 있는 문구를 사용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들에게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업체들은 이를 수용해 표시개선 등의 조치*를 취했다.

   * 총 17개 제품(612건) 표시개선 · 판매중단 등 완료(통신판매중개업자 협조를 통한 조치, ’20. 4. 23. 기준)

아울러 제품 용기 상에 의학적 효과를 표기하거나 필수 표시사항을 누락하는 등 관련 규정을 위반한 제품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해당 사실을 통보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손소독제를 구입할 경우 반드시 의약외품 허가를 받았는지 확인하고, 살균·소독제 사용 시에는 제품에 표시된 용도로만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4-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73 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무선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07
2872 연기 감지 기능 미흡 및 경보 음량 저조한 DIGOO 화재감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29
2871 연결나사 파손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킥보드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07.11
2870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9 2017.06.02
2869 역화 현상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Ooni 캠핑용 피자 오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4.02.20
2868 역외보험 가입을 권유받을 때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5.25
2867 역류에 의한 질식 위험이 있는 디지털 탕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5.20
2866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18
2865 여름철에는 벌레.곰팡이 이물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1.07.09
2864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7.23
2863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53 2015.08.03
2862 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0.07.28
2861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중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5 2017.07.07
2860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08.11
2859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6.25
2858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6.14
2857 여름철, ‘콘택트렌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26
2856 여름철 휴가, 물놀이 사고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8
2855 여름철 캠핑용품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1.07.20
2854 여름철 제모 후 피부염, 화상 등 부작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1 2017.07.06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