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전국 128개 도축장(소·돼지 78개소, 닭·오리 50개소)을 대상으로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에 대한 운용 상황을 소비자단체, 전문가, 검역본부, 시·도 합동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농식품부는 도축장 위생수준 향상과 HACCP 운용에 대한 소비자 신뢰제고를 위해 매년 축산물 위생관리법령에 따라 도축장 위생관리수준을 평가발표
○ 이번 평가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담보하기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주관으로 지자체(5개 광역시, 9개도)와 소비자단체(8개 단체), 외부전문가(8개 기관)가 참여하여 도축장의 인프라, 위생관리 및 미생물 검사결과에 대한 세부 항목별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적합, 부적합(재평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전반적으로 HACCP 운영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위반업소는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총 128개소 도축장 중 “적합”은 90개소(70%), “부적합(재평가)”은 38개소(30%)로 평가되었으며, 평가점수는 평균 87.7점으로 전년(84.9점) 대비 2.8점 상승하였고, 부적합 도축장은 38개소였다(‘14년 : 39개소, 30% → ’15년 : 38개소, 30%).
○ 부적합 도축장의 경우 포유류(소·돼지)는 6개소가 증가(‘14년 20개소, 26% → ’15년 26개소, 33%)하였으나, 가금류(닭·오리)는 7개소가 감소(’14년 19개소, 35% → ‘15년 12개소, 24%)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포유류 도축장은 법령위반에 따른 선행요건 부적합 지적사항이 증가한 반면, 가금류 도축장은 종업원의 위생관리 이해수준 향상 및 도축검사 공영화에 따른 도축검사관 배치에 따라 현장 기술지도 등을 통해 부적합 작업장이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또한, 축산물 위생관리법령을 위반한 도축장은 31개소(소·돼지 21개소, 닭·오리 11개소), 34건로 전년대비 다소 증가(‘14년 : 28개소, 22% → ’15년 : 31개소, 24%)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위반건수 34건 중 시설기준 위반 12건(35%), HACCP 관리 부적정 8건(24%), 청소상태 불량 및 안전모 미착용 등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이 7건(20%), 축산물 기준 및 규격 위반이 5건(15%), 기타 3건(9%)
이에 금번 평가에서 축산물 위생관리법령을 위반한 도축장은 관할 시·도에 통보하여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 조치하고, 평가결과를 토대로 차등 관리를 통해 도축장 위생수준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 적합판정 도축장에 대하여는 시설개선운영자금 지원 및 축산브랜드(소·돼지) 평가 시 반영토록 하고, 축산물 HACCP 운용 우수 도축장* 선정(소돼지 포유류, 닭오리 가금류 도축장 각 10개소) 및 최우수업체**(4개소)에 대해서는 포상(장관상)을 통해 위생관리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로 하였다.
* 우수 도축장 : (포유류) 고령축산물공판장, 광축, 금호실업, 김해축산물공판장, 민속엘피씨, 부경축산물공판장, 영남엘피씨, 평창기업, 화정식품, 횡성케이씨, (가금류) 금화식품보령공장, 마니커동두천지점, 성화식품, 유진, 주원산오리, 참프레, 체리부로, 크레치코, 하림익산공장, 하림정읍공장
** 김해축산물공판장, 부경축산물공판장, 하림익산공장, 하림정읍공장
○ 또한, 부적합 도축장은 지자체에 통보하여 재평가를 실시하고, 순회감독을 통한 기술지도 등 위생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12-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81 2023년도 가구당 슬레이트 지붕 철거비 지원규모 2배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22
12180 취약계층 난방비지원금, 보조금24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2179 무선충전기, 제품 간 충전시간 상온에서 최대 2.4배 차이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7
12178 일부 이유식,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이 실제와 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2177 일부 차량용 온열시트 안전확인 신고 의무 미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8
12176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12175 내일이룸학교 다녀간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6명이 취업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2174 유명 가전몰 위장사이트, 석달간 소비자 피해액만 7,500만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12173 ‘자신감 회복부터 취업까지’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7
12172 “30·40대 ‘교통·학교’, 50대 이상‘부동산’ 민원 많아...최다 민원은 불법주정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4
12171 대리점법 시행령 및 과징금고시 개정안 입법·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6
12170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8
12169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 소비자24 서비스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9
12168 건설근로자 1만 명 상해사망 등 보험 무료 가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2
12167 식약처, 녹내장 환자의 새로운 치료제 선택권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9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