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농촌주민의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역개발사업에 소규모 체감형 복지 프로그램을 모은「농촌 행복꾸러미*」를 연계시켜 본격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촌 행복꾸러미」는 ‘거동 불편 어르신 밑반찬 배달 서비스’, ‘이동식 세탁소 운영’, ‘글쓰기독서 교실’과 같은 소규모 복지 프로그램 묶음을 의미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촌지역은 65세 이상 고령농의 비율이 39.1%(‘14년, 농가기준), 독거노인 비율이 13.3%(도시4.5%)로 높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 그러나 농촌은 복지 시설이 부족하고 적은 인구가 넓은 면적에 거주하기 때문에 서비스 전달도 어려운 여건이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런 농촌의 상황을 분석할 때 소규모 체감형 복지 프로그램의 확산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그간 지자체에서 실시 중인 복지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그 중에서 주민 요구도가 높은 관련 프로그램 10개*를 모아「농촌 행복꾸러미」로 선정하였다.
* 행복꾸러미 내역사업 : ① 거동 불편 어르신 밑반찬 배달 서비스, ② 이동식 세탁소 운영, ③ 어르신 관절염 예방 등 건강 체조 교실 운영, ④ 어르신 대상 치매 진단예방 프로그램 운영, ⑤ 복지 셔틀버스 운행, ⑥ 고령자장애인 방문 목욕 서비스, ⑦ ICT 복지 달력 제작, ⑧ 글쓰기독서 교실, ⑨ 고령자 병원 동행 서비스, ⑩ 고령자 장보기 대행 서비스

《농촌 행복꾸러미 세부 사업 선정 배경》



◈ (기초생활형) 농촌에는 거동이 불편하여 식사를 잘못하시는 등 영양상태가 좋지 않으신 독거노인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불 등 대형 세탁물의 세탁이 어려운 어르신 들이 많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반찬배달서비스’, ‘이동식 세탁소’ 등을 선정
◈ (보건의료형) 고령농의 경우 질병질환에 취약하나 농촌은 의료기관 수, 의료인 수 등이 부족할 뿐 아니라 접근성도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건강체조교실’, ‘치매 진단예방 프로그램 운영’, ‘고령자 병원 동행 서비스’ 등 선정
◈ (소득 연계형) 최근 블로그나 SNS 등을 활용한 농산물 판매가 증가하고 있어 상품 홍보나 판매 과정에서 글쓰기가 필요하나 농촌 주민에게는 이를 학습할 기회가 거의 없어 글쓰기독서 교실 선정

농림축산식품부는「농촌 행복꾸러미」의 확산과 효율적 추진을 위해 ‘16년부터 지역개발사업(일반농산어촌개발,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을 통한 복지 프로그램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며, 복지 분야 공모(교육문화복지 프로그램 지원)도 병행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 (지역개발사업) 기존에는 ‘일반농산어촌개발’과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 사업은 시설 공급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 ’16년도부터는 농촌 지역의 복지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복지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하여 일반농산어촌개발과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 사업 시행지침(가이드라인)에 「농촌 행복꾸러미」프로그램을 포함 시킬 계획이며,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경우에는 평가지표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에는 ‘이동식 세탁소 운영’, ‘관절염 예방 등 건강 체조 교실 운영’, ‘치매 진단예방 프로그램 운영’, ‘ICT 복지달력 제작’, ‘글쓰기독서 교실’ 이 포함
**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사업에는 ‘독거노인 돌봄, 동절기 김장지원 및 취약계층 식사 지원 등 주민을 위한 각종 복지프로그램’이라고 표현하여 포괄적으로 규정
○ (복지 공모 사업) 공모로 진행되는 ‘교육문화복지 프로그램 지원 사업’ 을 활용하여「농촌 행복꾸러미」공모 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 본 공모 사업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사회서비스제공이 가능한 단체를 대상으로 ‘16년 3월 진행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농촌 행복꾸러미」내 사업 수와 추진 수단을 늘려가고 부처간 협업의 범위도 넓혀 나갈 계획이라 전했다.
- 이를 통하여 농촌의 복지 사각지대가 줄고 농촌 주민들의 복지 만족도 제고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12-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5 아동용 운동화 내구성, 제품에 따라 차이 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69
1744 12월 22일부터 30만원 미만 소액 장기연체자는 1년만에 신용등급을 회복할 수 있게 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12
1743 국민신문고, 스마트폰에서 더 쉽고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01
1742 이젠 집으로 갈 수 있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3
1741 공공기관 개인정보 자율관리체계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78
1740 주정차 단속 구역 사전알림 신청, 한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9
1739 인터넷상 서민대출 추천글, 알고보니 거짓-과장 광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100
1738 드론 신 산업, 비상(飛上)하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79
1737 ’16년 1월~’16년 3월 전국 59,881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93
1736 택시 승차거부, 연말 심야시간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8
1735 노후간판 교체사업 눈먼 보조금, 관리실태 심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2
1734 출장 건강검진 검체 관리 엄격 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117
1733 젊어서 어르신 돌보고 나중에 돌려받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84
1732 치매검진 급여전환, 24시간 방문요양 도입, 치매가족상담 수가 신설 등 치매부담 대폭 경감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4
1731 이행강제금 감경 부과하고, 건축허가서류 간소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8
Board Pagination Prev 1 ...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