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4월 23일 원주 지역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확인
 ◇ 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및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 권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원주 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야외활동시에는 특별히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원주에 거주하는 L씨(여자, 만 61세)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집 주변 풀숲에서 나물 채취를 하였고, 기저질환(당뇨)으로 인해 인근 의료기관 진료결과 혈액검사 상 간수치 상승 등의 소견으로 4월 21일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입원치료 중이며,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4월 23일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19년까지 환자 1,089명(사망자 215명)이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 79명(’15)→ 272명(’17)→ 223명(’19, 잠정통계)

 

작은소피참진드기
암컷, 수컷, 약충, 유충 순서(눈금한칸: 1mm)
머리에 붙어 흡혈하고 있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 사망자수 : 17명(’13)→ 21명(’15)→ 54명(’17)→ 41명(’19, 잠정통계)

< 그림 붙임 참조 >


□ SFTS는 등산, 나물채취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흡혈을 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은 4-6월, 성충은 6-8월에 높은 밀도로 채집

 ○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비율이 높고 야외활동이 시작되는 4월부터 환자 발생이 증가하므로,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에 유의하고, 진료 과정에서의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야외활동이 증가할 것이 예상됨에 따라,

 ○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과 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인적이 드문 수풀환경 등에서 활동시에는 진드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20-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91 싸구요 / ssa9y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6.30
2490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06.23
2489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3.05.26
2488 실손 보상이 된다는 의사 말만 믿고 고가의 신의료기술 치료를 받았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20
2487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VEVOR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0.28
2486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2485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1.13
2484 실리카겔 봉지 포장이 찢어진 Edison mam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1.21
2483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Wonderfull Honey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2482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Evelle Hilti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2.05.04
2481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8.07.23
2480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6 2016.11.28
2479 실내 롤러스케이트장,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13
2478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4.09
2477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2476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8.22
2475 신학기 문구용품 안전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3.30
2474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06.02
247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팩트체크 8가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2.05
2472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0.02.03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