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일) 맞아, 말라리아 감염주의 당부

  • 국내‧외 말라리아 발생지역(붙임1 참조) 여행 시에는 모기 기피제, 긴 옷 등을 이용하여 모기물림 주의

  • 말라리아 발생 국가에 따라 약제내성 및 발생현황이 다르므로 해외여행 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필요시 적절한 예방약 복용

  • 말라리아 의심 증상(발열, 오한 등)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여행력 알리고 진료 권고

중국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 중국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13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 또는 여행객과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Species)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으로 현재까지 총 5종*에서 인체감염이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삼일열말라리아는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환자의 90%가 발생*(‘19년)한다. <붙임 1 참조>

* 2019년 국내 발생 : 경기 북부 314명(64.7%), 인천 98명(20.2%), 강원 북부 25명(5.2%) 등

-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 등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연간 7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감염예방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다음과 같은 2020년 말라리아 퇴치 실행계획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모기집중방제, 예방 교육‧홍보 및 행안부‧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등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관리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 신속한 진단검사를 위해 20분 이내 진단 가능한 신속진단검사법(RDT, Rapid Diagnostic Test)을 도입 및 보험급여화로 본인부담금을 낮추었고, 적절한 치료를 위해 치료제 용량기준을 체중 당 용량(㎎/㎏)으로 변경*하여 실시하고 있다.

* 말라리아 치료제(프리마퀸) 용량: 하루 1정 → 체중 당(㎎/㎏)으로 변경

또한 말라리아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 내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조사 등 매개모기 감시를 강화하고, 매개모기 서식처인 축사 및 환자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소규모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환자 발생 시 촘촘한 역학조사를 통한 감염경로 규명과 집중방제 등을 실시해 소규모지역 맞춤형 말라리아 집중관리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휴전선 접경지역 보건소는 군부대와 관군협의체를 구성하여 매개모기방제, 환자 완치율 제고 등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도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국내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 또는 여행할 경우, 특히 해외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 시에는 말라리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말라리아 예방수칙〉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5월부터 10월까지 야간(밤 10시부터 새벽 4시)에는 야외(낚시터, 야외캠핑 등) 활동을 가능한 자제

  • 불가피한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옷을 착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을 철저히 실천

  •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 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지역에 따라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할 것

  • 말라리아 위험지역(다발생 지역) 여행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

국내·외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http://www.cdc.go.kr) 및 해외감염병나우(www.해외감염병now.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20-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33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5.21
1632 Red Crown 가성소다,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20.05.21
1631 IRIS 온풍기, 부품 결함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20.05.21
1630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5.21
1629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5.21
1628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5.21
1627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0.05.21
1626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BECO 수영장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0.05.21
1625 승용스포츠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0.05.21
162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20.05.20
1623 더워지는 계절, 비브리오 식중독에 주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5.20
1622 코로나19 상황을 틈타 급전 필요한 분, 고액 일당 지급 등을 미끼로 한 보험사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0.05.20
1621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5.14
1620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손 위생용품 바로 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5.14
1619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5.14
1618 '과산화수소' 직접 먹어서는 절대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0.05.14
1617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5.12
161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5.11
1615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5.07
1614 해외 여행사 ‘Travelgenio, Travel2be’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0.05.07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