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코로나19로 아이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장난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가정 내, 5세 미만 영·유아의 삼킴·삽입 사고 많아

최근 3년간(‘17~’19)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장난감(완구)과 관련된 위해정보는 총 6,253건이며, 이 중 63.0%(3,940건)가 가정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였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가정 내 완구 안전사고의 95.1%(3,748건)는 14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했고, 이 중 5세 미만 영·유아 사고가 80.6%에 달했다.

[ 어린이 연령별(14세미만) 장난감 사고 현황 ]

 
연령발생(건)비율(%)연령발생(건)비율(%)
0세139(3.7)7세99(2.6)
1세633(16.9)8세78(2.1)
2세821(21.9)9세43(1.2)
3세867(23.1)10세32(0.9)
4세562(15.0)11세24(0.6)
5세291(7.8)12세12(0.3)
6세144(3.8)13세3(0.1)

사고 유형으로는 구슬, 비비탄, 풍선 등을 입이나 코, 귀 등에 넣어 발생하는 ‘삼킴·삽입’ 관련 사고가 52.9%로 가장 빈번했고, ‘부딪힘’ 14.7%, ‘추락’ 10.6%이 뒤를 이었다.

특히, 삼킴 사고는 자칫 기도가 막혀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3세 미만 영아뿐만 아니라 3세 이상의 유아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어린이가 장난감을 입에 넣지 않도록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끄럼틀, 그네 등 대형 완구에서의 추락 사고 주의 필요

한편, 완구 관련 가정 내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 그네, 트램펄린과 같은 대형 완구에서는 ‘추락’ 사고가 주로 발생했다. 대형 완구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대형 완구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두꺼운 매트와 같은 충격 완화를 위한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완충바닥재가 모든 부상을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보호자의 적절한 감독이 필요하다.

   * (2019년 CISS 사례) 바닥이 4cm 두께의 매트가 깔려 있었음에도 만 3세 어린이가 60cm 높이의 미끄럼틀에서 떨어져 팔꿈치가 골절됨.


[ 대형 완구, 다발 위해유형 현황 ]

                                                                                                                                                                                      (단위: 건,%)

순위

가정용 미끄럼틀

가정용 그네

트램펄린

1

추락

209

(59.0)

추락

72

(63.7)

미끄러짐·넘어짐

49

(36.6)

2

미끄러짐·넘어짐

75

(21.2)

부딪힘

17

(15.0)

추락

37

(27.6)

3

부딪힘

61

(17.2)

기타 물리적 충격

8

(7.1)

부딪힘

30

(22.4)

기타

기타

9

(2.6)

기타

16

(14.2)

기타

18

(13.4)

합계

합계

354

(100.0)

합계

113

(100.0)

합계

134

(100.0)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가정의 달을 맞아 완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주요 유통분야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완구를 선택·관리·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 사업자 정례협의체 : 한국소비자원과 가전제품·식품·위생용품·자동차·유통분야 등 10개 분야 86개 기업이 산업별 소비자의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또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완구 구매 시 제품별 사용가능 연령, 자녀의 신체발달 정도, 주의 문구 등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할 것, ▲정기적으로 완구의 파손 여부를 체크해 이상이 있을 시 즉시 수리 또는 폐기할 것, ▲어린이가 스스로 안전하게 놀이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줄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53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귀리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영양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051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영양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9.27
3050 곰팡이 발생한 바나나빵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7
3049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9.27
3048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2.09.26
3047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라자냐 소스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6
3046 표시 미흡한 단백질보충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6
3045 벤조피렌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 기준 초과 검출된 녹차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9.26
3044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26
3043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26
3042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는 칼슘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6
3041 식품 원료 오(誤) 표기된 견과류 가공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09.26
3040 수은이 검출된 화장품(세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9.26
3039 이물질 혼입된 즉석조리식품(돈부리)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9.26
3038 이취 발생한 소고기볶음밥 자진 회수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9.26
3037 [소비자경보] 22년 상반기 신속민원 처리결과 소비자 유의사항(손해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9.26
3036 [소비자경보] 대리입금 광고에 현혹되면 고금리,불법 채권추심,협박 등의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니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9.26
3035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034 타임투바이 / TIME TO BUY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9.16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