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코로나19로 아이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장난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가정 내, 5세 미만 영·유아의 삼킴·삽입 사고 많아

최근 3년간(‘17~’19)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장난감(완구)과 관련된 위해정보는 총 6,253건이며, 이 중 63.0%(3,940건)가 가정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였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가정 내 완구 안전사고의 95.1%(3,748건)는 14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했고, 이 중 5세 미만 영·유아 사고가 80.6%에 달했다.

[ 어린이 연령별(14세미만) 장난감 사고 현황 ]

 
연령발생(건)비율(%)연령발생(건)비율(%)
0세139(3.7)7세99(2.6)
1세633(16.9)8세78(2.1)
2세821(21.9)9세43(1.2)
3세867(23.1)10세32(0.9)
4세562(15.0)11세24(0.6)
5세291(7.8)12세12(0.3)
6세144(3.8)13세3(0.1)

사고 유형으로는 구슬, 비비탄, 풍선 등을 입이나 코, 귀 등에 넣어 발생하는 ‘삼킴·삽입’ 관련 사고가 52.9%로 가장 빈번했고, ‘부딪힘’ 14.7%, ‘추락’ 10.6%이 뒤를 이었다.

특히, 삼킴 사고는 자칫 기도가 막혀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3세 미만 영아뿐만 아니라 3세 이상의 유아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어린이가 장난감을 입에 넣지 않도록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끄럼틀, 그네 등 대형 완구에서의 추락 사고 주의 필요

한편, 완구 관련 가정 내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 그네, 트램펄린과 같은 대형 완구에서는 ‘추락’ 사고가 주로 발생했다. 대형 완구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대형 완구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두꺼운 매트와 같은 충격 완화를 위한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완충바닥재가 모든 부상을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보호자의 적절한 감독이 필요하다.

   * (2019년 CISS 사례) 바닥이 4cm 두께의 매트가 깔려 있었음에도 만 3세 어린이가 60cm 높이의 미끄럼틀에서 떨어져 팔꿈치가 골절됨.


[ 대형 완구, 다발 위해유형 현황 ]

                                                                                                                                                                                      (단위: 건,%)

순위

가정용 미끄럼틀

가정용 그네

트램펄린

1

추락

209

(59.0)

추락

72

(63.7)

미끄러짐·넘어짐

49

(36.6)

2

미끄러짐·넘어짐

75

(21.2)

부딪힘

17

(15.0)

추락

37

(27.6)

3

부딪힘

61

(17.2)

기타 물리적 충격

8

(7.1)

부딪힘

30

(22.4)

기타

기타

9

(2.6)

기타

16

(14.2)

기타

18

(13.4)

합계

합계

354

(100.0)

합계

113

(100.0)

합계

134

(100.0)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가정의 달을 맞아 완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주요 유통분야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완구를 선택·관리·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 사업자 정례협의체 : 한국소비자원과 가전제품·식품·위생용품·자동차·유통분야 등 10개 분야 86개 기업이 산업별 소비자의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또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완구 구매 시 제품별 사용가능 연령, 자녀의 신체발달 정도, 주의 문구 등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할 것, ▲정기적으로 완구의 파손 여부를 체크해 이상이 있을 시 즉시 수리 또는 폐기할 것, ▲어린이가 스스로 안전하게 놀이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줄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59 인터넷 사기 도박사이트로 유인하는 가짜뉴스 문자메시지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0.06.23
1658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22
1657 점점 더워지는 날씨, 에어컨과 선풍기 화재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0.06.18
1656 때 이른 무더위, 식중독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6.11
1655 고령층 대상 홍보관 등 불법 방문판매 영업장 방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6.11
1654 장난감 안전사고로부터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0.06.10
1653 자전거 사고 6월에 가장 많아 안전수칙 준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0.06.04
1652 등교 수업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6.03
1651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0.06.02
1650 금융상품을 가장한 온라인 사설 FX마진 거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0.06.01
1649 명품월마트 / mpmark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01
1648 여름의 초입 6월, 호우·폭염·물놀이·자전거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5.28
1647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20.05.25
1646 역외보험 가입을 권유받을 때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5.25
1645 르노삼성자동차(주) XM3 차량 발전기 커버 미장착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5.22
1644 기아자동차(주) 올뉴쏘렌토(UM) 차량, 변속레버 P단 해제 안되는 문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2 2020.05.22
1643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05.21
1642 밤코스메틱(Bomb Cosmetics) 입욕제, 작은 부품 삼킴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5.21
1641 인판티노(infantino) 아기띠, 버클 파손으로 낙상사고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7 2020.05.21
1640 엔젤케어베이비(Angelcare Baby) 유아용 목욕의자, 익사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5.21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