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코로나19로 아이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장난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가정 내, 5세 미만 영·유아의 삼킴·삽입 사고 많아

최근 3년간(‘17~’19)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장난감(완구)과 관련된 위해정보는 총 6,253건이며, 이 중 63.0%(3,940건)가 가정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였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가정 내 완구 안전사고의 95.1%(3,748건)는 14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했고, 이 중 5세 미만 영·유아 사고가 80.6%에 달했다.

[ 어린이 연령별(14세미만) 장난감 사고 현황 ]

 
연령발생(건)비율(%)연령발생(건)비율(%)
0세139(3.7)7세99(2.6)
1세633(16.9)8세78(2.1)
2세821(21.9)9세43(1.2)
3세867(23.1)10세32(0.9)
4세562(15.0)11세24(0.6)
5세291(7.8)12세12(0.3)
6세144(3.8)13세3(0.1)

사고 유형으로는 구슬, 비비탄, 풍선 등을 입이나 코, 귀 등에 넣어 발생하는 ‘삼킴·삽입’ 관련 사고가 52.9%로 가장 빈번했고, ‘부딪힘’ 14.7%, ‘추락’ 10.6%이 뒤를 이었다.

특히, 삼킴 사고는 자칫 기도가 막혀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3세 미만 영아뿐만 아니라 3세 이상의 유아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어린이가 장난감을 입에 넣지 않도록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끄럼틀, 그네 등 대형 완구에서의 추락 사고 주의 필요

한편, 완구 관련 가정 내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 그네, 트램펄린과 같은 대형 완구에서는 ‘추락’ 사고가 주로 발생했다. 대형 완구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대형 완구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두꺼운 매트와 같은 충격 완화를 위한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완충바닥재가 모든 부상을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보호자의 적절한 감독이 필요하다.

   * (2019년 CISS 사례) 바닥이 4cm 두께의 매트가 깔려 있었음에도 만 3세 어린이가 60cm 높이의 미끄럼틀에서 떨어져 팔꿈치가 골절됨.


[ 대형 완구, 다발 위해유형 현황 ]

                                                                                                                                                                                      (단위: 건,%)

순위

가정용 미끄럼틀

가정용 그네

트램펄린

1

추락

209

(59.0)

추락

72

(63.7)

미끄러짐·넘어짐

49

(36.6)

2

미끄러짐·넘어짐

75

(21.2)

부딪힘

17

(15.0)

추락

37

(27.6)

3

부딪힘

61

(17.2)

기타 물리적 충격

8

(7.1)

부딪힘

30

(22.4)

기타

기타

9

(2.6)

기타

16

(14.2)

기타

18

(13.4)

합계

합계

354

(100.0)

합계

113

(100.0)

합계

134

(100.0)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가정의 달을 맞아 완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주요 유통분야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완구를 선택·관리·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 사업자 정례협의체 : 한국소비자원과 가전제품·식품·위생용품·자동차·유통분야 등 10개 분야 86개 기업이 산업별 소비자의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또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완구 구매 시 제품별 사용가능 연령, 자녀의 신체발달 정도, 주의 문구 등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할 것, ▲정기적으로 완구의 파손 여부를 체크해 이상이 있을 시 즉시 수리 또는 폐기할 것, ▲어린이가 스스로 안전하게 놀이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줄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13 적합성 평가 인증이 없는 Jiuran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20
4112 고정장치 결함으로 낙상 위험 있는 Petzl 암벽등반용 하네스(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28
4111 안전 요건 미준수로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29
4110 새학기 봄철 놀이시설에서의 어린이 추락사고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06
4109 과도한 농도의 유해물질 함유된 손가락 물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3
4108 '연금형 달러 펀드'로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유혹하는 외국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4
4107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5
4106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5)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5
4105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410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4103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4102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20
4101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Saveurs & Fruits 체리 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16
4100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3
4099 이랜드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21
4098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09.15
4097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Alnatura 시금치 호두 스프레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20
4096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Jay robb 단백질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4
4095 유통기한이 지난 원재료를 사용한 노벨제과 미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8
4094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31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