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잠복결핵감염자가 검진․치료받으면 활동성 결핵발생 위험 크게 낮아져

- 질병관리본부, 2017〜2018년도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결과 발표 -

◇ 잠복결핵감염자 중 미 치료자는 치료 완료자 대비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 약 5.4배 높음
◇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한 경우 약 82%의 높은 활동성 결핵 예방 효과
◇ 의료기관‧보건소 내원자의 경우 치료 시작과 완료율 높아 의료진의 역할 중요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2018년도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결과를 근거로 잠복결핵감염의 활동성 결핵 진행정도 및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 연구과제명 : 국가 잠복결핵감염 코호트 운영 및 분석

* 연구목적 :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결과의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한 중장기적 효과 분석

* 연구대상 : 결핵예방법 제11조의 의무검진 대상자(의료기관, 산후조리원,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복지시설) 및 병역판정 대상자, 고등학생, 교정시설 재소자

* 연구책임자 : 김주상 교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 잠복결핵감염이란? <붙임 1> 카드뉴스 참조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자(활동성결핵 배제)는 미감염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률이 16.3배, 감염자 중 치료 미실시자는 치료 완료한 사람에 비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잠복결핵감염 치료는 활동성결핵의 예방효과(82%)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감염자 100명 중 35명만이 치료를 시작하고, 이 중 29명만이 치료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검진 결과 양성인 비율은 14.5%(1,016천 명 중 148천 명)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의 감염 위험도가 더 높았다.

 ○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시작률은 35.2%였고, 치료를 시작한 자 중 82.8%*가 치료를 완료하였으며,
   *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완료율은 29.2%

  - 전체 감염자 중 41.8%만이 잠복결핵감염 진단 후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 방문하였으나, 내원자 중 대부분인 84.3%가 치료를 시작하여 치료기관 내원 안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 대상자를 평균 2년 2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했을 경우 활동성 결핵 발생으로의 82% 예방효과를 보였다.
   * 치료 완료 대비 치료 미실시의 위험비(hazard ratio)가 5.418로 도출되어, 치료를 완료했을 경우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을 1/5.4 수준(약 18%)으로 낮추는 것으로 확인

 ○ 보다 상세한 내용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http://www.cdc.go.kr) “주간 건강과 질병 제13권 제17호(2020.4.23. 발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가까운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으며, 잠복결핵감염 치료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 ① 가족접촉자는 검사비(TST, IGRA) 무료 ②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HIV 감염인, 투석환자 등 9개 고위험군 범주에 속하는 경우 본인부담률 30〜60% ③ 그 외 본인부담률 80%
   ** <붙임 2> “잠복결핵감염 치료비 지원 사업 개요” 참조

 ○ 질병관리본부는 잠복결핵감염 검사 및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전국 457개의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을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의료기관 명단은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본 연구를 통해 결핵 발병 시 집단 내 전파 위험 등 파급 효과가 큰 집단시설 종사자의 경우, 잠복결핵감염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이 활동성 결핵 진행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강조하면서,

 ○ “활동성 결핵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에 잠복결핵 치료가 효과적인 만큼 잠복결핵감염 시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 아울러,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에 대한 중장기적 효과 분석 체계를 운영하기 위하여 연구 과제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20-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04 설 연휴 기간 특별안전점검반 가동, 항공안전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60
6103 설 연휴 기간 환경오염행위 특별 감시·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31 20
6102 설 연휴 대비 생활폐기물 특별관리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3
6101 설 연휴 무료 개방하는 공공주차장, 정부24에서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0 13
6100 설 연휴 미세먼지 전망…야외 활동에 무리 없는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4 30
6099 설 연휴 전날 교통사고 사상자 최다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0
6098 설 연휴 주택화재, 음식 조리 중 부주의로 가장 많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33
6097 설 연휴 중 챙겨볼 만한 실손보험 유익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 금융소비자가 놓치기 쉬운 보험꿀팁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9 15
6096 설 연휴 통행료 부과… 대중교통 좌석 판매 축소 등 여행 자제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3 22
6095 설 연휴 환경오염 행위 특별감시·단속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19
6094 설 연휴(2.2.∼2.6.), 갑자기 아파도 걱정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21
6093 설 연휴, 가족과 걷기 좋은 국립공원 길 5곳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4 41
6092 설 연휴, 갑자기 아파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19
6091 설 연휴,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해 이것만은 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17
6090 설 연휴, 내 고향 생태휴양지에서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01 101
Board Pagination Prev 1 ...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