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고수익 보장’에 충동계약 주의 필요!

최근 ‘고수익’ 광고에 현혹되어 주식투자정보서비스에 가입한 소비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019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3,237건으로 2018년 대비 99.7% 증가했다. 올해 1월에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 현황 ]

                                                                                                                                                                           (단위: 건,%)

구분

2018

2019

2020

 

1

2

3

1

2

3

건수

1,621

3,237

267

173

219

190

204

247

(전년 대비 증감)

-

(99.7)

-

-

-

(28.8)

(17.9)

(12.8)

◎ 계약해지 후 환급 거부·지연 소비자 피해 가장 많아

2019년 접수된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 3,237건을 분석한 결과,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대부분(96.5%)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환급 거부·지연’이 61.2%(1,981건)로 가장 많았고, ‘위약금 과다청구’가 35.3%(1,144건)로 뒤를 이었다.

[ 소비자 피해 유형별 현황 ]


[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주요 소비자 피해 유형 ]

환급 거부·지연 사례

  ○ 계약해지 시 소비자에게 사전 설명하지 않은 고가의 주식매매 프로그램 비용을 공제
     (예 : 계약 시 납부한 500만원 중 프로그램 비용이 495만원이라며 환불을 거부)

  ○ 계약기간 중 극히 일부만 유료기간으로 설정하여 계약해지 시 유료서비스 제공 완료를 주장

     (예 : 총 12개월 계약기간 중 첫 1개월은 유료, 나머지 11개월은 무료로 임의 설정한 후 계약해지 요청 시 환급액이 없다고 주장)

위약금 과다 청구 사례

  ○ 해지 시 실제로 납부한 서비스 이용료가 아닌 고액의 정상가를 기준으로 위약금 과다 부과

  ○ 해약접수 이후 고의적으로 처리를 지연시켜 실이용료 과다 공제

1 인당 평균 계약금액은 373 만원 , 최고가 계약금액은 3,600 만원에 달해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금액이 확인된 2,610건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계약금액은 373만원으로 2018년의 367만원보다 6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대별로는 `200만원초과 ~ 400만원이하'가 41.4%(1,081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0만원 초과 ~ 600만원이하' 26.1%(681건), `200만원 이하' 19.5%(509건) 등의 순이었다. 2018년 8건에 불과했던 ‘1,000만원 초과’ 고가 계약은 2019년 56건으로 7배 증가했고, 최고가 계약금액은 3,600만원에 달했다.

50대 이상 퇴직 전후 세대 피해 늘고 있어 노후생활 불안정 우려

계약 소비자 연령이 확인된 2,969건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이 1,858건으로 2018년 대비 2.3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퇴직 직전·후 세대인 ‘50대’ 및 ‘60대’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주식투자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주식투자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피해 연령별 현황 ]

(단위: ,%)

소비자 연령

2018

2019

전년 대비 증감

건수 (A)

비율 (A/1,380*100)

건수 (B)

비율 (B/2,969*100)

건수 (C=B-A)

비율 (D=C/A*100)

20~ 40

571

41.4

1,111

37.4

540

94.6

50대 이상

809

58.6

1,858

62.6

1,049

129.7

 

50

428

31.0

942

31.7

514

120.1

60

258

18.7

697

23.5

439

170.2

1,380*

100

2,969

100

1,589

115.1

* 2018년 주식투자정보서비스 피해구제 신청 1,621건 중 소비자 연령 확인 가능한 1,380건 분석

현혹되기 쉬운 높은 수익률 등을 제시하는 광고에 주의할 것

한국소비자원은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사업자의 불법·불건전 행위 근절을 위해 금융감독원과 피해다발사업자, 불법행위 의심사례 등에 대한 정보공유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피해예방을 위해 ▲현혹되기 쉬운 높은 수익률 등을 제시하는 광고에 주의할 것, ▲계약서를 요구하여 환급기준 등 주요 내용을 반드시 확인할 것, ▲업체에 계약해지 요청 시 녹취, 문자 등 증빙자료를 남겨 분쟁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4-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800 이런 ‘58개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03
799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9
798 석면을 함유한 부품이 포함되어 리콜된 Vevor 에센셜 오일 증류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2
797 롯데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6.20
796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이 함유되어 있는 Gerber goodstart 영유아 분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5.12
795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794 손가락 상해 유발할 수 있는 Zack 수건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1.16
793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브로우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1.14
792 으뜸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20
791 보일러․난로 사용 시 일산화탄소 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18
790 벤조피렌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 기준 초과 검출된 녹차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9.26
789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8.30
78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7.22
787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7.21
786 녹농균 검출된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7.13
785 다목적 세정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7.07
784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5.17
783 인공눈물,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4.16
782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아동용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4.11
781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함유된 Biona Organic 캐슈넛 버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3.27
Board Pagination Prev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