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신종전자담배*와 궐련의 혼용 사례가 많으며, 이 경우 소변 내 니코틴, 발암물질 등은 궐련 단독 흡연자와 다르지 않음

*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이번 연구*는 신종전자담배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흡연자들의 흡연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담배사용 유형별로 흡연자들의 생체지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바이오마커와 환경시료를 활용한 직간접 흡연 노출평가 연구’(연구책임자: 순천향대학교 김성렬 교수)

** 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NNAL(붙임 1 용어설명 참조)

분석 결과, 궐련(일반담배)과 신종전자담배를 함께 피우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전자담배와 궐련을 함께 피우는 흡연자의 소변 내 니코틴, 발암물질 등은 궐련 단독 흡연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설문조사는 만 19세 이상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담배사용 유형별*로 구분하여 총 3,004명을 모집(편의추출)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 단독 사용 :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각각 단독 사용

이중 사용 : 궐련+궐련형 전자담배,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액상형 전자담배

삼중 사용 : 궐련+궐련형 전자담배+액상형 전자담배

2019년 3월~4월 1차 설문조사 후 5개월 뒤인 9월, 779명을 대상으로 담배사용 유형 변화를 재조사한 결과,

- 1차 조사 시 보다 2차 조사 때 궐련 또는 전자담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감소하는데, 궐련 단독 사용자의 약 28%는 궐련과 전자담배를 혼용하는 신종전자담배 흡연행태로 전환하였고,

* 단독 사용 : (1차) 371명 → (2차) 223명

- 특히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를 함께 혼용하는 삼중 사용자는 1차 조사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다(붙임 2 참조).

* 삼중 사용 : (1차) 146명 → (2차) 311명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궐련(3.5±2.1점), 궐련형 전자담배(3.2±1.8점), 액상형 전자담배(2.9±1.8점)** 단독 사용자 간 니코틴 의존도는 차이가 없었다(붙임 2 참조).

* 니코틴 의존도는 FTND(니코틴의존도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 액상형 전자담배 10회 흡입을 일반담배 1 개비로 추정하여 적용(ISO 3308:2012(E))

설문조사 응답자 중 832명을 대상으로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발암물질 노출을 대변하는 소변 내 생체지표를 측정한 결과, 담배사용 모든 유형의 코티닌 등 생체지표 농도의 수준이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 코티닌(중앙값, ng/mL) : (비흡연자) 0.9, (궐련) 729.5, (궐련형 전자담배) 765.5

(궐련+궐련형 전자담배) 676.7,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886.2, (삼중 사용) 916.7

그리고,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의 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등 생체지표의 농도는 궐련 단독 사용자와 유사한 수준이며,

궐련을 포함하는 이중, 삼중 사용자의 경우, 발암물질(NNK) 노출지표인 NNAL을 포함한 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등 생체지표 수준이 궐련 단독 사용자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붙임 2 참조).

* 궐련 단독(중앙값): (코티닌) 729.5 ng/mL, (OH-코티닌) 2227 ng/mL, (NNAL) 32.0 pg/mL

* 삼중 사용(중앙값): (코티닌) 916.7 ng/mL, (OH-코티닌) 2701 ng/mL, (NNAL) 33.7 pg/mL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최근 신종전자담배가 속속 등장하는 상황에서 흡연자들이 금연 등의 이유로 신종전자담배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궐련과 함께 신종전자담배를 혼용하는 흡연행태로 변화하고 있다”고 하며,

“신종전자담배도 궐련과 유사한 수준의 중독성이 있고, 궐련과 신종전자담배를 혼용하는 경우 발암물질 노출 등 건강위해 측면에서도 궐련과 유사하므로 금연클리닉, 금연치료 등을 통한 올바른 금연 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고위험군에 ‘흡연자’를 추가하여 관리를 강화해 나가기로 발표한 바 있다.

* 보도참고자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정례브리핑, 4월 4일)



[ 보건복지부 2020-04- 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85 신용협동조합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1 100
5184 신유형 상품권 불공정 약관 조항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90
5183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3
5182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9
5181 신종 대포통장 모집 수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108
518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발생 현황 (2월 4일 14시, 2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4 18
517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8 11
517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 안내(접촉자 전파사례를 확인해 추가 조사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1 18
517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추가 역학조사 결과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3 6
517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시약 긴급사용 승인, 의료기관까지 검사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4 15
517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피해 납세자에 대한 세정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15
517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대비 어린이집 등 대응요령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23
517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환자 상태는 안정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1 25
» 신종전자담배 흡연행태, 금연과 건강에 전혀 도움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0 25
5171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국내 발생 현황(일일 집계통계, 9시 기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37
Board Pagination Prev 1 ...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