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제 주민들이 매일 아침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살림살이가 담긴 가계부를 안방에서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정부3.0과 지방재정 개혁의 일환으로, 그동안 충청남도 등에서 부분적으로 시행해 온 「세입·세출 일일 운용상황 공개」를 지난 11월 14일부터 전국 243개 자치단체에서 전면 시행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자치단체 누리집(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세입·세출 상황을 꼼꼼히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그동안 연 1회~2회 예산 및 결산 시점에 예산서와 결산서 형태로 공개되던 자치단체 세입·세출을 거의 실시간 단위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재정정보 공개 수준이 대폭 높아졌다. 특히 충청남도, 경상북도 등의 자치단체는 세입·세출 운용상황 뿐 아니라, 지출정보, 사업개요 등까지 소상하게 공개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자치단체 살림살이의 기본이 되는 세입·세출 운용상황이 일일단위로 공개됨에 따라, 지방재정 운용에 대한 투명성이 높아지고 주민에 의한 재정 통제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국민 입장에서는 그동안 정보공개청구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던 자치단체의 세입·세출 관련 상세 정보를 손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알 권리가 제고되는 효과가 있고, ‘살림살이 성적표’가 매일 공개되기 때문에 자치단체의 예산 절감 유인이 강해지고, 자치단체 간 효율적 재정 운용을 위한 선의의 경쟁 유발 효과도 기대된다.

그동안 행정자치부는 자치단체 공무원의 추가적인 공개업무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자치단체 세입·세출 일일 운용상황 공개가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금고은행 협의, 시스템 연계, e호조 기능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해 왔으며, 내년 5월부터는 금년 말까지 구축 예정인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가칭)」*에 모든 자치단체의 세입·세출 일일 운용상황을 통합 공개하여 국민 편의성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정재근 행정자치부차관은 “자치단체 세입·세출 일일 운용상황 공개의 도입은 자치단체 살림살이를 주민에게 가감 없이 투명하게 공개해행정의 신뢰를 높이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더 많은 재정정보를, 알기 쉽게, 적시에 공개해 주민에 의한 지방재정 자율통제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담당 : 재정협력과 김민정 (02-2100-3522), 박세권 (3552)


[행정자치부 2015-1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5 식약처, 유통 농.수산물 유해물질 잔류실태 조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9
1714 식약처, 녹내장 환자의 새로운 치료제 선택권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9
1713 건설근로자 1만 명 상해사망 등 보험 무료 가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2
1712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 소비자24 서비스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9
1711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0
1710 대리점법 시행령 및 과징금고시 개정안 입법·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6
1709 “30·40대 ‘교통·학교’, 50대 이상‘부동산’ 민원 많아...최다 민원은 불법주정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4
1708 ‘자신감 회복부터 취업까지’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7
1707 유명 가전몰 위장사이트, 석달간 소비자 피해액만 7,500만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5
1706 내일이룸학교 다녀간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6명이 취업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705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1704 일부 차량용 온열시트 안전확인 신고 의무 미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8
1703 일부 이유식,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이 실제와 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702 무선충전기, 제품 간 충전시간 상온에서 최대 2.4배 차이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7
1701 취약계층 난방비지원금, 보조금24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Board Pagination Prev 1 ...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