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년 3월 24일 제주,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올해 첫 확인 되어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다음과 같은 행동 수칙 꼭 준수하세요!

  • 생후 12개월∼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 실시

  • 야외활동시 밝은 색의 긴 옷 착용하고, 노출부위엔 모기 기피제 사용

  • 안전한 환경을 위해 유충서식지(고인 물) 없애는 등 모기방제 실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주, 전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채집(3월 24일)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3~11월)*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채집되었을 때 발령하는데, 올해 주의보 발령은 작년에 비해 2주 정도 빨라졌다.

* 일본뇌염 유행예측을 위해 매년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61개 조사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모기를 채집하여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생, 밀도 및 분포를 분석하는 사업으로,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을 위한 자료로 활용

- 이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채집된 남부지역(제주, 부산, 전남)의 1~2월 평균기온이 평년대비 2.3~2.6℃ 상승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접종과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 일본뇌염 환자의 250명 중 1명에서 증상 발현

또한,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여야 하며,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s://nip.cdc.go.kr)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5회 접종

13(생후 1235개월)

4(6), 5(12)

약독화 생백신

2회 접종

12(생후 1235개월)


성인은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성인 대상 일본뇌염 예방접종 기준 >

1.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중 위험지역(,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자,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다루는 실험실 요원


2. 접종용량 및 방법

- 불활성화 백신(베로세포 유래 백신) : 3회 접종
  0.5ml730일 간격으로 2회 접종,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 약독화 생백신(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백신) : 0.5ml1회 접종


출처


1.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5). 2017.

2. 질병관리본부. 성인 예방접종 안내서. 2018.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일본뇌염 유행국가: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괌,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사이판,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동티모르 등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활동이 시작 되었으므로, 야외 활동 시와 가정에서 아래의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보건복지부 2020-03-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31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이 있는 건조 과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4.15
4130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5.13
4129 화재 위험이 있는 Kawasaki 잔디깎이 엔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5.28
4128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09.07
4127 금속성 이물 검출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1.10
4126 고정 장치 미비로 떨어질 위험 있는 Petite Friture 거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1.20
4125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1.27
4124 표시사항 및 포장 요건을 위반한 Epoartist 에폭시 레진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2.19
4123 배터리 열 보호 장치 미비한 Kuzupro 무선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4
4122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4
4121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31
4120 카드뮴 최대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0
4119 동남아 지역 우리국민 대상 취업사기 범죄에 유의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8
4118 안전 요건 미준수로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9
4117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TOBLERONE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9
4116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3.18
4115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01
4114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ival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01
4113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03
4112 제품 품질이 불량하고 안전 정보가 누락된 전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03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