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내역 확인 쉬워진다

정부 3.0으로 다가가는, ‘장애인 활동지원 이용내역 알림 문자메세지 발송’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이용내역을 안내하는 문자를 매 달 발송하여 이용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그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최초 서비스 신청 시 판정받은 등급과 서비스 이용 가능액을 통보받고,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수급자는 서비스가 필요한 정도 등을 평가하는 인정조사 점수를 기준으로, 활동지원 등급에 따라 서비스비용 지원 받음

서비스 이용 도중에는 서비스를 얼마나 이용하였는지, 지난달 서비스를 많이 쓰지 않아 이번 달로 이월된 금액이 있는지 등이 궁금하면 활동지원기관 등에 매번 문의해야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문자서비스를 통해 지난 달 이용할 수 있었던 서비스 제공 금액 중 얼마를 이용 하였는지, 이번 달에는 얼마나 서비스를 사용 가능한지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문자서비스는 부정수급에 대한 처분과 부정수급이 의심될 때의 신고방법 등 부정수급과 관련된 내용도 함께 포함하고 있으며,

- 이러한 이용내역과 부정수급 신고 안내를 통해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서비스 제공인력이 장애인을 속이고 허위로 결제하는 부정수급 관행을 정상화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문자발송 내용 : 12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이용내역 알림

사회보장정보원에서 12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이용내역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00 님께서는 전월(11월)에 바우처 사용가능액 XXX,XXX원 중에서 XX회 XXX,XXX원을 이용하셨습니다. 000 님의 당월(12월) 바우처 사용가능(예정)액은 XXX,XXX원입니다.

(전월 바우처 이용내역은 사후 과오반납, 예외지급 등으로 인해 변동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이용액이 궁금하신 경우 이용하시는 활동지원기관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장애인활동지원 제도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홈페이지 (www.ableservice.or.kr)를 확인하시거나 시군구청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정수급방지 안내>

부정수급이 의심되는 경우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전자바우처 클린센터 (www.socialservice.or.kr)를 통해 신고하여 주십시오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제47조제1항제1호에 따라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비용을 청구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본 번호는 발송전용 번호이며, 수신 거부를 원하시면 080-870-5533(무료 수신거부) 서비스 이용바랍니다.

보건복지부는 그간 장애인들이 자신이 얼마나 서비스를 이용했는지 알아보기 불편한 경우가 있었으나, 장애인이 궁금해 하기 전에 미리 정보를 알려주는 문자를 통해 이용자가 서비스를 계획적으로 사용하기 편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장애인 활동지원제도 개요


[보건복지부 2015-11-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64 주민등록증 사진도 여권 사진과 동일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9 76
10363 치료보다 예방접종! 어린이는 12세까지, 어르신은 만 75세 이상부터 인플루엔자 무료예방접종 10월 2일 본격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1 76
10362 '18.8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6.6만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31.7%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8 76
10361 자활급여, 우체국 금융망을 통해 압류방지 전용통장으로 지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76
10360 내년 10인 미만 사업장 국민연금 보험료 최대 90%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76
10359 자전거 주차장 설치기준, 자동차 주차대수로 일원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6 76
10358 「중이염」 질환, 9세이하 소아·아동이 절반이상 차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3 76
10357 2017년 5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76
10356 국민권익위, “불이익 주는 행정처분, 사전 통지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7 76
10355 FCA, 토요타, 시트로엥, 페라리, 한국지엠, 포드, 만트럭, 스즈키 리콜 실시(총 17개 차종 4,423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5 76
10354 스키장 등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전국 일제 위생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4 76
10353 피자업종 프랜차이즈 비교정보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7 76
10352 2016년 동계시즌 바뀌는 항공편, 확인하고 타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76
10351 65세 이상 547만명 인플루엔자 접종 완료, 미접종 어르신은 11월 안에 예방접종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76
10350 난방·배기시설 설치하여 옷방·붙박이가구 결로 방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8 76
Board Pagination Prev 1 ...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