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9년 결핵 신규환자 2만 3821명,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 9.9% 감소

- 65세 이상 1만 1218명 발생, 전체의 47.1% 차지, 조기검진 중요 -

 

질병관리본부, 2019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발표

신환자수 전년 대비 2,612명 감소(2643323821), 8년 연속 감소

의료급여 수급권자 2,207(9.4%),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결핵발생 약 3.6배 높음

65세 이상 11,218, 전년 대비 811(10.7%) 감소, 차지하는 비율 증가(45.5% 47.1%)

외국인 1,287, 전년 대비 111(7.9%) 감소, 외국인 다제내성 환자수 107, 전년 대비 19(21.6%) 증가

 

올해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재가와상 어르신 및 노숙인·쪽방거주자 등 취약계층 조기발견을 위한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 확대 차질 없이 추진 예정

 

 < 그림 붙임 참조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결핵예방의 날」(3월 24일)*을 맞아,  ‘2019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을 발표했다.

   * 1982년 국제결핵 및 폐질환 연합학회(IUATLD)가 로버트 코흐의 결핵균 발견(1882년 3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세계 결핵의 날」로 제정(WHO와 공동 주관). 우리나라는  2010년 ‘결핵예방법’을 개정하면서「결핵예방의 날」로 지정하고 2011년부터 법정기념일 행사를 개최하고 있음(단, 2020년 행사는 코로나19로 연기)

 ○ 2019년 신규환자는 2만 3821명(10만 명당 46.4명)으로 전년 대비(2만 6433명/10만 명당 51.5명) 2,612명(9.9%) 감소하였다.

   - 이는 ‘11년 이후 8년 연속 감소,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 WHO는 ‘조기검진·활동성 및 잠복결핵 치료를 최적화하고 보편적 의료보장 및 사회복지 등이 최대한 이뤄질 경우 연간 10% 감소가능 전망’(출처: WHO, The END TB Strategy, 2015)

 ○ 또한 올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환자 통계를 신규 산출했다.

   - 의료급여 수급권자 환자 수는 2,207명(10만 명당 148.7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 2만1,221명(10만 명당 41.6명)에 비해 약 3.6배 높았다.

   * 의료보장 적용인구: 건강보험 5107만2000명(97.2%), 의료급여 148만5000명(2.8%)

□ ‘2019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65세 이상 어르신 환자 수는 1만 1218명으로 전년 대비 811명(10.7%) 감소하였으나, 고령화·암 등 면역저하 기저질환 증가에 따라 전체 결핵 신환자 중 어르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47.1%로 전년(45.5%) 대비 증가하였다.
   - 80세 이상 초고령 어르신의 결핵 신환자는 2017년(4,711명), 2018년(5,066명) 늘었던 것이 5,004명으로 전년 대비 62명(8.2%) 줄었다.

   - 또한 복약기간이 길고 약제부작용으로 인해 결핵치료 및 관리가 어려운 다제내성* 환자 수는 68명으로 전년 대비 17명(33.3%) 증가하였다.

   * 65세 이상 신환자수(%): (’11년) 1만 1859명(30.0%) →  (’18년) 1만 2029명(45.5%)→ (’19년) 1만 1218명(47.1%)
   * 다제내성 결핵은 이소니아지드, 리팜핀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항결핵 약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질병임

 ○ 외국인 결핵환자 수는 1,287명으로 전년 대비 111명(7.9%) 감소하였다. 이는, 국내 외국인 증가로 ‘16년부터 결핵고위험국가*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신청 외국인 대상 결핵검진을 의무화한 결과다.

   - 그러나 외국인 다제내성 결핵환자 수는 107명으로 전년 대비 19명(21.6%) 증가하였다.

   * 결핵고위험국가(19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몽골, 네팔,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중국,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미얀마, 키르키즈스탄, 동티모르, 말레이시아, 러시아, 인도, 라오스

□ 이번 신고현황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과 ‘20년 결핵예방관리강화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 고령화 및 암 등 기저질환 증가로 늘고 있는 노인결핵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증상 결핵 치료 중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조기검진과 철저한 복약관리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65세 이상 연 1회 흉부X선 검진 홍보를 강화하고 1:1 복약상담을 위한 결핵관리전담요원*을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 추가로 배치하여 환자를 철저히 관리해나갈 것이다. 
   * 2020년 하반기 결핵관리전담요원 448명 신규 배치 예정(총 965명)
 ○ 결핵 발병 고위험군인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완료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정부는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17만6000명)·재가와상 어르신(6만4000명)과 노숙인·쪽방주민(1만8000명) 등 취약계층 대상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총 예산 69억 원)을 오는 4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발견된 환자는 취약계층을 전담하여 치료하는 결핵안심벨트* 의료기관과 알코올중독·정신질환 등을 함께 앓고 있는 환자 치료가 가능한 서울서북병원** 연계를 통해 사후관리를 철저히 지원할 계획이다.

   * 2020년 결핵안심벨트 기관 및 예산: 10개소(‘19년 대비 +3개소), 11억 원(’19년 대비 +3억3000만 원)
   ** 서북병원 격리치료시설 확충 예산(‘19년 14억 원), ’20년 하반기 운영 예정

 ○ 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다제내성 결핵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입국 전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 신청 시 결핵검진을 의무화하는 결핵 고위험국가(현 19개국)를 보다 확대하고,

   - 이들 국가의 결핵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내성검사를 의무화하는 등의 정책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세계 결핵의 날」을 맞아 ‘It’s time!(∼할 시간이다!)‘을 표어로 정해 ’It’s time for action!(행동할 시간이다!)’, ’It’s time to END TB!(결핵을 퇴치할 시간이다)!’를 강조했다.
 
 ○ 이는,  2018년 9월 국제연합(UN) 총회에서 결의한 2030년까지 전 세계 결핵유행 조기종식을 위해 각 국이 지금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이다.

 ○ 세계보건기구(WHO)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 사무총장은 “결핵퇴치를 위해 예방과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결핵에 대한 낙인을 없애고, 결핵 치료 및 백신 연구개발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자”고 말했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2019년 결핵환자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어르신, 의료보장 취약계층, 외국인에 대한 결핵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이를 위해 “2020년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재가와상 어르신 및 노숙인·쪽방 거주자 등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전담간호인력 및 결핵안심벨트 확충을 통해 충실하게 환자를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2019년 범정부 차원의 ‘결핵 예방관리 강화대책’을 확정했고,

   - 2020년 범정부·전문 학계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통해 확정된 강화대책이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점검해 나가 2030년까지 결핵을 조기퇴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강조했다.



[ 보건복지부 2020-03-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0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화장품 에센스' 제품 검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1 52
5329 5월말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0 52
5328 전국의 숨은 자원봉사자를 찾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52
5327 올 여름을 환경방학으로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1 52
5326 2019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7월 12일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2 52
5325 화장품 해외직구 시 구매조건에 따라 가격을 꼼꼼히 비교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52
5324 2020년 표준단독주택 가격 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52
5323 조산원에서 출산해도 온라인으로 출생신고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2
5322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4 52
5321 4월 25일부터 가정용 달걀 선별포장 유통 본격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4 52
5320 개인형 이동장치 이제 안전하게 “자전거도로”로 달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8 52
5319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2 52
5318 방문돌봄종사자 한시지원금 1월 25일부터 온라인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5 52
5317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20% 감면 혜택 3차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52
5316 학교 밖 청소년의 대학진학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2 52
Board Pagination Prev 1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