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9년 결핵 신규환자 2만 3821명,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 9.9% 감소

- 65세 이상 1만 1218명 발생, 전체의 47.1% 차지, 조기검진 중요 -

 

질병관리본부, 2019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발표

신환자수 전년 대비 2,612명 감소(2643323821), 8년 연속 감소

의료급여 수급권자 2,207(9.4%),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결핵발생 약 3.6배 높음

65세 이상 11,218, 전년 대비 811(10.7%) 감소, 차지하는 비율 증가(45.5% 47.1%)

외국인 1,287, 전년 대비 111(7.9%) 감소, 외국인 다제내성 환자수 107, 전년 대비 19(21.6%) 증가

 

올해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재가와상 어르신 및 노숙인·쪽방거주자 등 취약계층 조기발견을 위한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 확대 차질 없이 추진 예정

 

 < 그림 붙임 참조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결핵예방의 날」(3월 24일)*을 맞아,  ‘2019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을 발표했다.

   * 1982년 국제결핵 및 폐질환 연합학회(IUATLD)가 로버트 코흐의 결핵균 발견(1882년 3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세계 결핵의 날」로 제정(WHO와 공동 주관). 우리나라는  2010년 ‘결핵예방법’을 개정하면서「결핵예방의 날」로 지정하고 2011년부터 법정기념일 행사를 개최하고 있음(단, 2020년 행사는 코로나19로 연기)

 ○ 2019년 신규환자는 2만 3821명(10만 명당 46.4명)으로 전년 대비(2만 6433명/10만 명당 51.5명) 2,612명(9.9%) 감소하였다.

   - 이는 ‘11년 이후 8년 연속 감소,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 WHO는 ‘조기검진·활동성 및 잠복결핵 치료를 최적화하고 보편적 의료보장 및 사회복지 등이 최대한 이뤄질 경우 연간 10% 감소가능 전망’(출처: WHO, The END TB Strategy, 2015)

 ○ 또한 올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환자 통계를 신규 산출했다.

   - 의료급여 수급권자 환자 수는 2,207명(10만 명당 148.7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 2만1,221명(10만 명당 41.6명)에 비해 약 3.6배 높았다.

   * 의료보장 적용인구: 건강보험 5107만2000명(97.2%), 의료급여 148만5000명(2.8%)

□ ‘2019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65세 이상 어르신 환자 수는 1만 1218명으로 전년 대비 811명(10.7%) 감소하였으나, 고령화·암 등 면역저하 기저질환 증가에 따라 전체 결핵 신환자 중 어르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47.1%로 전년(45.5%) 대비 증가하였다.
   - 80세 이상 초고령 어르신의 결핵 신환자는 2017년(4,711명), 2018년(5,066명) 늘었던 것이 5,004명으로 전년 대비 62명(8.2%) 줄었다.

   - 또한 복약기간이 길고 약제부작용으로 인해 결핵치료 및 관리가 어려운 다제내성* 환자 수는 68명으로 전년 대비 17명(33.3%) 증가하였다.

   * 65세 이상 신환자수(%): (’11년) 1만 1859명(30.0%) →  (’18년) 1만 2029명(45.5%)→ (’19년) 1만 1218명(47.1%)
   * 다제내성 결핵은 이소니아지드, 리팜핀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항결핵 약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질병임

 ○ 외국인 결핵환자 수는 1,287명으로 전년 대비 111명(7.9%) 감소하였다. 이는, 국내 외국인 증가로 ‘16년부터 결핵고위험국가*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신청 외국인 대상 결핵검진을 의무화한 결과다.

   - 그러나 외국인 다제내성 결핵환자 수는 107명으로 전년 대비 19명(21.6%) 증가하였다.

   * 결핵고위험국가(19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몽골, 네팔,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중국,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미얀마, 키르키즈스탄, 동티모르, 말레이시아, 러시아, 인도, 라오스

□ 이번 신고현황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과 ‘20년 결핵예방관리강화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 고령화 및 암 등 기저질환 증가로 늘고 있는 노인결핵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증상 결핵 치료 중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조기검진과 철저한 복약관리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65세 이상 연 1회 흉부X선 검진 홍보를 강화하고 1:1 복약상담을 위한 결핵관리전담요원*을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 추가로 배치하여 환자를 철저히 관리해나갈 것이다. 
   * 2020년 하반기 결핵관리전담요원 448명 신규 배치 예정(총 965명)
 ○ 결핵 발병 고위험군인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완료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정부는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17만6000명)·재가와상 어르신(6만4000명)과 노숙인·쪽방주민(1만8000명) 등 취약계층 대상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총 예산 69억 원)을 오는 4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발견된 환자는 취약계층을 전담하여 치료하는 결핵안심벨트* 의료기관과 알코올중독·정신질환 등을 함께 앓고 있는 환자 치료가 가능한 서울서북병원** 연계를 통해 사후관리를 철저히 지원할 계획이다.

   * 2020년 결핵안심벨트 기관 및 예산: 10개소(‘19년 대비 +3개소), 11억 원(’19년 대비 +3억3000만 원)
   ** 서북병원 격리치료시설 확충 예산(‘19년 14억 원), ’20년 하반기 운영 예정

 ○ 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다제내성 결핵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입국 전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 신청 시 결핵검진을 의무화하는 결핵 고위험국가(현 19개국)를 보다 확대하고,

   - 이들 국가의 결핵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내성검사를 의무화하는 등의 정책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세계 결핵의 날」을 맞아 ‘It’s time!(∼할 시간이다!)‘을 표어로 정해 ’It’s time for action!(행동할 시간이다!)’, ’It’s time to END TB!(결핵을 퇴치할 시간이다)!’를 강조했다.
 
 ○ 이는,  2018년 9월 국제연합(UN) 총회에서 결의한 2030년까지 전 세계 결핵유행 조기종식을 위해 각 국이 지금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이다.

 ○ 세계보건기구(WHO)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 사무총장은 “결핵퇴치를 위해 예방과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결핵에 대한 낙인을 없애고, 결핵 치료 및 백신 연구개발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자”고 말했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2019년 결핵환자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어르신, 의료보장 취약계층, 외국인에 대한 결핵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이를 위해 “2020년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재가와상 어르신 및 노숙인·쪽방 거주자 등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전담간호인력 및 결핵안심벨트 확충을 통해 충실하게 환자를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2019년 범정부 차원의 ‘결핵 예방관리 강화대책’을 확정했고,

   - 2020년 범정부·전문 학계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통해 확정된 강화대책이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점검해 나가 2030년까지 결핵을 조기퇴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강조했다.



[ 보건복지부 2020-03-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36 연말연시 대비 케이크 제조.판매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2
12135 사회취약계층 빈발민원 해소... 생활 안정 제도개선 이뤄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2
12134 2020년 상반기 시행되는 주요 법령을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2
12133 올해부터 전국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제공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12
12132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사실조사」전국 동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12
12131 2020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3 12
12130 2019년 4/4분기 다단계판매업자의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12
12129 청년에겐 일자리, 지역에는 활력을...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지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12
12128 취약지에서 운영 중인 분만산부인과의 운영난 덜어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12
12127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 3월 16일까지 신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4 12
12126 불법대부광고에 이용된 전화번호 이용중지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4 12
12125 청년에게 미래를, 지역에는 활력을 3월 4일부터 2020년도 1차 도시재생뉴딜 청년인턴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2
12124 취학대상아동의 소재와 안전, 끝까지 확인하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2
12123 무신고 수입산 포장지를 사용한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2
12122 배달앱, 사업자정보 부족하고 취소 절차 안내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2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