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9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접수된 심의 요청 5,004건을 심의한 결과,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의 절반 이상이 제품 불량이거나 세탁 과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에 대한 책임 소재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섬유·피혁제품, 세탁서비스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한 위원회

섬유제품·세탁서비스 소비자분쟁의 절반 이상(53.0%)이 사업자 책임

2019년 섬유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 ‘제조 불량’, ‘세탁방법 부적합’ 등 사업자의 책임이 53.0%(2,651건)에 달했다. 이 중 제조·판매업자의 책임이 43.3%(2,169건), 세탁업자의 책임이 9.7%(482건)였으며, ‘취급 부주의’ 등으로 인한 소비자 책임은 17.0%(852건)에 불과했다.


                                     [ 2019년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책임소재 현황 ]

                                                                                                                                                                           (단위 : 건, %)

구분

사업자

소비자

기타*

합계

제조·판매업자

세탁업자

건수 (구성비)

2,651 (53.0)

852 (17.0)

1,501 (30.0)

5,004 (100.0)

2,169 (43.3)

482 (9.7)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상 내용연수 경과로 자연손상’, ‘허용수준 이내 하자’ 등

제조·판매업자 책임은 ‘제조 불량’, 세탁업자 책임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최다

책임소재가 제조·판매업자로 심의된 사례 2,169건을 하자유형별로 살펴보면, ‘제조 불량’이 36.1%(78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내구성 불량’ 31.2%(676건), ‘염색성 불량’ 24.6%(533건), 내세탁성 불량 8.1%(176건) 순이었다.


                                                    [ 제조·판매업자 책임 하자유형별 건수 ]

                                                                                                                                                                     (단위 : 건, %)

구분

제조 불량

내구성 불량

염색성 불량

내세탁성 불량

합계

건수 (구성비)

784 (36.1)

676 (31.2)

533 (24.6)

176 (8.1)

2,169 (100.0)


특히, ‘제조불량’ 784건 중 상표·로고·장식 등의 ‘접착 불량’은 109건, ‘내구성 불량’ 676건 중 ‘털빠짐 하자(모우(毛羽)부착 불량)*’는 95건으로 2018년도에 비해 각각 51.4%, 61.0% 증가해 섬유제품에 대한 업계의 품질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 섬유제품에서 털이 쉽게 빠지거나 많이 묻어나는 하자

[ 접착 불량 사례 ][ 털빠짐 하자(모우부착 불량) 사례 ]


한편 책임소재가 세탁업자로 심의된 482건의 유형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55.4%(267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용제·세제 사용 미숙’ 11.6%(56건), ‘오점 제거 미흡’ 9.1%(44건), ‘후손질 미흡’ 6.8%(33건)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점퍼·재킷류가 13.6%로 가장 많아

심의 요청된 품목으로는 점퍼·재킷이 13.6%(681건)로 가장 많았고, 바지 5.9%(296건), 셔츠 5.9%(293건), 코트 4.5%(224건), 원피스 3.3%(163건) 등의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판매업자 및 세탁업자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의 품질관리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부착된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준수할 것, ▲세탁 의뢰 시에는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인수증을 받아둘 것, ▲세탁된 제품은 가급적 빨리 회수하여 하자 유무를 즉시 확인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3-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50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33
5349 식약처, 식품 중 벌레 이물을 줄일 수 있는 방충 소재 개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39
5348 사이버공격, 지능형 방어체계로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7
5347 결핵예방 피내용 BCG 백신, 6월 중 공급 재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28
5346 “한 번 신청으로 주거지원 정보 평생 무료로 제공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36
5345 공영주차장 68곳 조성에 651억 투입…주차난 해소 총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4
5344 아우디, FCA, 르노, 스즈키, KTM 리콜실시(총 21개 차종 25,600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2
5343 실손의료보험의 전환,중지 등 연계제도를 마련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중단없는 보장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3
5342 개정 고발지침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78
5341 유연근무제, 궁금함을 쏙쏙 풀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56
5340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3
5339 생활과 밀접한 주민등록 인감 제도혁신으로 더 나은 주민의 삶을 만들어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4
5338 자연공원 내 대피소에서 음주 못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5
5337 미투! 신원 노출 걱정 말고 적극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27
5336 달걀 자가품질검사 의무화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2
Board Pagination Prev 1 ...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