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9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접수된 심의 요청 5,004건을 심의한 결과,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의 절반 이상이 제품 불량이거나 세탁 과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에 대한 책임 소재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섬유·피혁제품, 세탁서비스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한 위원회

섬유제품·세탁서비스 소비자분쟁의 절반 이상(53.0%)이 사업자 책임

2019년 섬유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 ‘제조 불량’, ‘세탁방법 부적합’ 등 사업자의 책임이 53.0%(2,651건)에 달했다. 이 중 제조·판매업자의 책임이 43.3%(2,169건), 세탁업자의 책임이 9.7%(482건)였으며, ‘취급 부주의’ 등으로 인한 소비자 책임은 17.0%(852건)에 불과했다.


                                     [ 2019년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책임소재 현황 ]

                                                                                                                                                                           (단위 : 건, %)

구분

사업자

소비자

기타*

합계

제조·판매업자

세탁업자

건수 (구성비)

2,651 (53.0)

852 (17.0)

1,501 (30.0)

5,004 (100.0)

2,169 (43.3)

482 (9.7)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상 내용연수 경과로 자연손상’, ‘허용수준 이내 하자’ 등

제조·판매업자 책임은 ‘제조 불량’, 세탁업자 책임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최다

책임소재가 제조·판매업자로 심의된 사례 2,169건을 하자유형별로 살펴보면, ‘제조 불량’이 36.1%(78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내구성 불량’ 31.2%(676건), ‘염색성 불량’ 24.6%(533건), 내세탁성 불량 8.1%(176건) 순이었다.


                                                    [ 제조·판매업자 책임 하자유형별 건수 ]

                                                                                                                                                                     (단위 : 건, %)

구분

제조 불량

내구성 불량

염색성 불량

내세탁성 불량

합계

건수 (구성비)

784 (36.1)

676 (31.2)

533 (24.6)

176 (8.1)

2,169 (100.0)


특히, ‘제조불량’ 784건 중 상표·로고·장식 등의 ‘접착 불량’은 109건, ‘내구성 불량’ 676건 중 ‘털빠짐 하자(모우(毛羽)부착 불량)*’는 95건으로 2018년도에 비해 각각 51.4%, 61.0% 증가해 섬유제품에 대한 업계의 품질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 섬유제품에서 털이 쉽게 빠지거나 많이 묻어나는 하자

[ 접착 불량 사례 ][ 털빠짐 하자(모우부착 불량) 사례 ]


한편 책임소재가 세탁업자로 심의된 482건의 유형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55.4%(267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용제·세제 사용 미숙’ 11.6%(56건), ‘오점 제거 미흡’ 9.1%(44건), ‘후손질 미흡’ 6.8%(33건)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점퍼·재킷류가 13.6%로 가장 많아

심의 요청된 품목으로는 점퍼·재킷이 13.6%(681건)로 가장 많았고, 바지 5.9%(296건), 셔츠 5.9%(293건), 코트 4.5%(224건), 원피스 3.3%(163건) 등의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판매업자 및 세탁업자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의 품질관리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부착된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준수할 것, ▲세탁 의뢰 시에는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인수증을 받아둘 것, ▲세탁된 제품은 가급적 빨리 회수하여 하자 유무를 즉시 확인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3-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91 초.중등학교 학부모부담 교육비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5 26
8590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2 26
8589 해수욕장 5곳 중 1곳, 안전요원·동력 구조장비가 없어 안전사고에 즉각 대응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7 26
8588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8 26
8587 BMW 리콜 대상 차량의 긴급 안전진단 이행 및 중고차 유통 관리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0 26
8586 변액보험 수익률 알림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6
8585 2018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26
8584 공시지가 표준지 조사 때 공동 소유자 모두의 의견 듣는 절차 마련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5 26
8583 온라인 중고차 매매 규제 빗장 푼다…청년·새싹기업 활성화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4 26
8582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모든 차량으로 확대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26
8581 “의료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신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3 26
8580 아동수당 시행 3개월, 아동 221만 명이 받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3 26
8579 국민신청실명제, 시범운영 마치고 제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9 26
8578 금융꿀팁 200선-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피해를 보상하는 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6
8577 12월은 자동차세 납부의 달, 잊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6
Board Pagination Prev 1 ...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