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화물차 지정차로 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등 영상단속 강화,
심야에는 이동식 과속단속 확대하기로


경찰청에서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사상 첫 100명대 진입을 위해 주요 취약요소인 화물차를 3월부터 집중하여 관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작년 고속도로 사망자는 절반 이상(54.4%)이 화물?특수차의 가해로 인해 발생할 정도로 화물차는 고속도로 사망사고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새벽 배송과 같은 운송업의 발달로 5t 이하 소형 화물차의 과속과 과적이 잦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


경찰청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화물차 운전자의 과속심리를 억제하고자 과속단속 외에 지정차로 위반과 안전거리 미확보 등을 집중단속하고, 과적으로 인한 적재용량 초과와 적재 불량 등도 단속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화물차 정비상태가 교통사고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점을 고려하여 노후 타이어, 전조등 고장 등 정비 불량사항도 정비 명령을 발부하여 개선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블랙박스, 캠코더 등을 활용한 영상단속을 확대하여 언제 어디서든 단속될 수 있다라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것이다. 또한, 사망자가 집중(45%)되는 자정부터 아침 8시까지 심야 이동식 과속단속을 활성화하여 화물차뿐만 아니라 승용차 운전자에게도 과속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작년부터 운영 중인 고속도로 합동 단속팀*’을 기존 월 1회에서 2회로 늘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금요일에 집중 활동(금요일 집중단속 Day)을 하는 등 관계기관과의 합동단속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문 분야인 화물차 구조변경 등에 대한 단속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난 2월 발생한 순천완주선 결빙구간 사고와 같은 대형사고를 막고자, 연속 터널 또는 내리막 구간에 무인 단속함을 집중배치하였다. 이를 주기적으로 교차단속하여 구간단속 장비와 같은 효과를 유도할 계획이며, 국토부와 협업하여 가변 속도제한’* 구간을 점차 확대하고, ‘통행 제한기준 등에 대해서도 정비할 예정이다.


경찰청에서는 집중단속에 앞서 충분히 홍보하고 일깨워 화물차 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다라고 밝히며, 성숙한 고속도로 교통안전 문화 정착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 경찰청 2020-03-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0 의류용 합성세제, 가격과 세척성능 잘 따져봐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102
10129 의류용 합성세제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138
10128 의류용 표백제, 제품에 따라 얼룩 제거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4
10127 의류용 중성세제, 오염 종류에 따라 제품별 세척력 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1 9
10126 의류건조기(9~10kg), 건조도·건조시간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4 69
10125 의류‧신발 등 해외구매 품목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70
10124 의류·식음료업종 표준대리점계약서 개정안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15
10123 의류 해외직구 시 가격 꼼꼼히 비교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3 13
10122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45
10121 의료전문가 까지 동원한 허위.과대광고 점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16
10120 의료인 명찰 고시 시행, 환자·의료인 간 신뢰 강화 계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1 48
10119 의료용겔 유통.판매금지 및 회수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9 34
10118 의료용 전동스쿠터 제품별 품질 및 안전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51
10117 의료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 적용된 제품의 의료기기 해당 여부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38
10116 의료용 마약류 졸피뎀 '사전알리미'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4 19
Board Pagination Prev 1 ...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