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알고 싶은 사회보장 통계, 쉽고 빠르게 찾아보세요!”
-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발간 및 통계정보 제공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 책자는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등에서 만들어지는 각종 사회보장 통계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사회보장의 수준과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회보장통계집으로 발간*된 것으로, 2013년 이후 일곱 번째 발간이다.

* 2018년을 기준으로 2019년 12월까지 발표된 약 30개 중앙행정기관 등 통계수록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는 사회보장위원회와 전문가 논의를 거쳐 청년 분야를 새롭게 추가하여 14개 분야와 53개 세부 영역, 총 269개 지표*로 구성하였고 특히 청년고용, 삶의 질 등 169개의 대표 지표를 선정하여 자세히 제시하였다.

* (’17) 11개 분야, 260개 지표 ⇒ (’18) 4대 범주, 13개 분야, 260개 지표 ⇒ (’19) 청년의 사회적 위험 등 고려 ‘청년’ 분야 추가(4대 범주, 14개 분야 269개 지표)

또한, 국민의 삶과 정책영역을 고려하여 ‘가족과 생애주기’(가족, 아동, 청년, 노인, 장애인), ‘일과 소득보장’(근로, 소득보장과 빈곤), ‘삶과 사회서비스’(건강, 보육·교육, 문화, 주거, 에너지, 환경), ‘사회재정’ 등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분야별 핵심사항(Highlight)과 통계표 및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를 통해, 인구‧가족 구조, 사회지출 등 인구‧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노인빈곤, 소득‧고용 양극화, 돌봄 문제 등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으로 인한 우리나라 사회보장 수준과 변화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인구‧가족)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전체 가구의 29.8%(약 599만 가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소득보장) 저소득층 등을 위한 소득보장 정책추진의 영향으로 노인 빈곤 및 분배 관련 지수(소득 5분위 배율, 지니계수) 모두 2017년 기준 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사회서비스) 맞벌이 부부 등의 관심이 큰 보육·교육 분야에서는 2018년 기준, 신뢰가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은 2017년 대비 9.2%(3,602개) 증가하였으며, 초등돌봄 참여 학생 수 역시 6.5%(1만 5984명) 증가하였다.

< 그림 붙임 참조 >

(청년고용) 15~29세 고용률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43.5%(전년 比 0.8%p)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사회재정)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국내총생산 대비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18년 기준)는 11.1%(잠정치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0.1%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이번 통계책자는 정부, 공공기관, 국회 등 500여 기관에 배부되며,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책자에 수록된 사회보장 통계는 분야, 영역, 생애주기 및 소관부처별로 사회보장통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사회보장위원회(www.ssc.go.kr), 보건복지부(www.mohw.go.kr) 및 복지로(www.bokjiro.go.kr) 누리집을 통해 3월 31일 부터 제공된다.

보건복지부 이재용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사회보장통계집 발간을 통해 국가기관 등의 효율적인 예산집행과 과학적이고 시의성 높은 사회보장정책 수립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또한 “앞으로도 국민의 실생활에서 더 체감도 높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정책영역별 다양한 사회보장통계를 발굴하고 반영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보장통계를 국민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사회보장통계 수집‧분류, 데이터베이스 개선 및 통계지표별 원자료 제공 등 온라인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20-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44 제2기(‘15∼’17년) 전문병원 111개 병원 지정 소비생활센터 2015.01.02 487
13843 모든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 명칭을 「해바라기센터」로 통일, 이용자 혼선 없앤다 cunsumer 2015.01.02 535
13842 2015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본인부담상한액 적용 cunsumer 2015.01.02 573
13841 해양심층수 모든 식품에 사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59
13840 2015년 식·의약품 안전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57
13839 해외 여행지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2
13838 미용실‧숙박업 폐업신고 세무서나 구청 한 곳에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505
13837 폐 망가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최근 진료인원 감소 추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3
13836 한약재 GMP 전면의무화로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79
13835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03
13834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금 청구시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29
13833 아동권익 보호를 위한 입양기관 행정처분 기준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96
13832 “「한국의 밥心」쌀은 식량이기 이전에 우리의 정체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9
13831 4-메틸이미다졸 기준초과‘카라멜색소’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11
13830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