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알고 싶은 사회보장 통계, 쉽고 빠르게 찾아보세요!”
-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발간 및 통계정보 제공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 책자는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등에서 만들어지는 각종 사회보장 통계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사회보장의 수준과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회보장통계집으로 발간*된 것으로, 2013년 이후 일곱 번째 발간이다.

* 2018년을 기준으로 2019년 12월까지 발표된 약 30개 중앙행정기관 등 통계수록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는 사회보장위원회와 전문가 논의를 거쳐 청년 분야를 새롭게 추가하여 14개 분야와 53개 세부 영역, 총 269개 지표*로 구성하였고 특히 청년고용, 삶의 질 등 169개의 대표 지표를 선정하여 자세히 제시하였다.

* (’17) 11개 분야, 260개 지표 ⇒ (’18) 4대 범주, 13개 분야, 260개 지표 ⇒ (’19) 청년의 사회적 위험 등 고려 ‘청년’ 분야 추가(4대 범주, 14개 분야 269개 지표)

또한, 국민의 삶과 정책영역을 고려하여 ‘가족과 생애주기’(가족, 아동, 청년, 노인, 장애인), ‘일과 소득보장’(근로, 소득보장과 빈곤), ‘삶과 사회서비스’(건강, 보육·교육, 문화, 주거, 에너지, 환경), ‘사회재정’ 등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분야별 핵심사항(Highlight)과 통계표 및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를 통해, 인구‧가족 구조, 사회지출 등 인구‧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노인빈곤, 소득‧고용 양극화, 돌봄 문제 등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으로 인한 우리나라 사회보장 수준과 변화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인구‧가족)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전체 가구의 29.8%(약 599만 가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소득보장) 저소득층 등을 위한 소득보장 정책추진의 영향으로 노인 빈곤 및 분배 관련 지수(소득 5분위 배율, 지니계수) 모두 2017년 기준 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사회서비스) 맞벌이 부부 등의 관심이 큰 보육·교육 분야에서는 2018년 기준, 신뢰가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은 2017년 대비 9.2%(3,602개) 증가하였으며, 초등돌봄 참여 학생 수 역시 6.5%(1만 5984명) 증가하였다.

< 그림 붙임 참조 >

(청년고용) 15~29세 고용률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43.5%(전년 比 0.8%p)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사회재정)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국내총생산 대비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18년 기준)는 11.1%(잠정치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0.1%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이번 통계책자는 정부, 공공기관, 국회 등 500여 기관에 배부되며,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책자에 수록된 사회보장 통계는 분야, 영역, 생애주기 및 소관부처별로 사회보장통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사회보장위원회(www.ssc.go.kr), 보건복지부(www.mohw.go.kr) 및 복지로(www.bokjiro.go.kr) 누리집을 통해 3월 31일 부터 제공된다.

보건복지부 이재용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사회보장통계집 발간을 통해 국가기관 등의 효율적인 예산집행과 과학적이고 시의성 높은 사회보장정책 수립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또한 “앞으로도 국민의 실생활에서 더 체감도 높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정책영역별 다양한 사회보장통계를 발굴하고 반영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보장통계를 국민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사회보장통계 수집‧분류, 데이터베이스 개선 및 통계지표별 원자료 제공 등 온라인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20-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85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로 시간여행' 서비스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3 12
12184 학자금대출 상환이 어려운 계층을 위한 관련 시행령 개정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4 12
12183 경부선 광역전철(수도권 1호선) 급행확대로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12182 25~64세 생계급여 수급자의 근로·사업소득 30%까지 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12181 국내 판매 주류 20개 중 1개 제품만 영양성분 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12180 의료기기 임상시험 결과보고 이렇게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2
12179 수입중단 조치한 해외제조업소 정보공개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2
12178 연말연시 대비 케이크 제조.판매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2
12177 사회취약계층 빈발민원 해소... 생활 안정 제도개선 이뤄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2
12176 2020년 상반기 시행되는 주요 법령을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2
12175 올해부터 전국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제공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12
12174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사실조사」전국 동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12
12173 2020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3 12
12172 2019년 4/4분기 다단계판매업자의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12
12171 청년에겐 일자리, 지역에는 활력을...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지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12
Board Pagination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