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난방기기, 취사도구 취급 시 소비자 주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예년보다 포근한 날씨로 캠핑장 이용객이 늘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캠핑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국민여가활동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 캠핑을 휴가 동안 가장 즐겨하는 여가활동 중 4위로 꼽았고, 최근 5년 간('15년~'19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는 총 195건에 달하며, 특히 2019년에는 51건이 접수되어 2018년 34건 대비 1.5배 증가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최근 5년 간 접수된 캠핑장 안전사고 195건을 위해원인별로 분석한 결과, `미끄러짐·넘어짐', `부딪힘' 등 물리적 충격으로 발생한 사고가 93건(47.7%)으로 가장 많았고, 화재·발연·과열·가스 관련 사고가 50건(25.6%)으로 뒤를 이었다.


                                                                     [ 위해원인별 캠핑장 안전사고 현황 ]

                                                                                     (단위 : 건, %)

위해원인

세부원인

건수

합계(비율)

물리적 충격

미끄러짐·넘어짐

30

93(47.7)

부딪힘

25

추락

24

눌림·끼임

8

기타 물리적 충격

6

화재·발연·과열·가스

화재·발연·과열 관련

25

50(25.6)

고온물질

18

가스 관련 및 기타

7

기타(제품 고장, 식품 섭취, 이물질, 동물에 의한 상해 등)

52

52(26.7)

합계

195

195(100.0)

[ 출처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위해증상별로는 피부가 찢어지거나 베이는 등의 사고가 81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열에 의한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어지러움, 산소결핍 등 난방기기 및 취사기구 이용 중 발생하는 위해증상이 60건(30.8%)*이었다.

* 관련 사례: ’19. 12. 캠핑장에서 텐트 내부에 숯을 피우고 취침 중 중독사고(추정) 발생(사망 1명, 중상 1명)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110건(57.0%)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22건(11.4%), `30대' 19건(9.8%) 순이었으며, `9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사고가 68건(61.8%)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 연령을 알 수 없는 2건을 제외한 총 193건을 분석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캠핑장 이용자들에게 ▲텐트 안에서 난로 등의 난방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삼발이 보다 큰 냄비나 불판을 사용하지 않을 것, ▲화로에 불을 피울 때는 주변에 물을 뿌리고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할 것, ▲텐트 줄을 고정할 때는 야광으로 된 줄이나 끝막이(스토퍼)를 사용하는 등 캠핑장 이용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23 어린이보호 포장 미흡한 Krystal 에폭시 레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11.14
2722 어린이들은 신맛캔디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09.20
2721 어린이도 알아요, 자전거 탈 때 안전모 쓰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4.18
2720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안내서, 누리집에서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5 2018.12.17
2719 어린이가 액체를 섭취할 위험이 있는 Tickit 액상형 모래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6
2718 어린이가 사용하는 핑거페인트,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7.10.17
2717 어린이가 고리에 끼일 위험 있는 Bernat 뜨개실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42 2015.05.12
2716 어린이·청소년 인플루엔자 소폭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03.26
2715 어린이, 초콜릿 과다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8.12.17
2714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3.12
2713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07.27
2712 어린이 타박상 위험 있는 Hasbro 코끼리 장난감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2.13
2711 어린이 카시트 안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2.13
2710 어린이 칫솔, 모 탈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7.10.13
2709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Eishindo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0.11.23
2708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Disney 엘사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0.12.07
2707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05.19
2706 어린이 약 삼킴사고 예방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0.02.25
2705 어린이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Medique 진통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0.11.23
2704 어린이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Medi-First, Medique 감기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