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난방기기, 취사도구 취급 시 소비자 주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예년보다 포근한 날씨로 캠핑장 이용객이 늘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캠핑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국민여가활동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 캠핑을 휴가 동안 가장 즐겨하는 여가활동 중 4위로 꼽았고, 최근 5년 간('15년~'19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는 총 195건에 달하며, 특히 2019년에는 51건이 접수되어 2018년 34건 대비 1.5배 증가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최근 5년 간 접수된 캠핑장 안전사고 195건을 위해원인별로 분석한 결과, `미끄러짐·넘어짐', `부딪힘' 등 물리적 충격으로 발생한 사고가 93건(47.7%)으로 가장 많았고, 화재·발연·과열·가스 관련 사고가 50건(25.6%)으로 뒤를 이었다.


                                                                     [ 위해원인별 캠핑장 안전사고 현황 ]

                                                                                     (단위 : 건, %)

위해원인

세부원인

건수

합계(비율)

물리적 충격

미끄러짐·넘어짐

30

93(47.7)

부딪힘

25

추락

24

눌림·끼임

8

기타 물리적 충격

6

화재·발연·과열·가스

화재·발연·과열 관련

25

50(25.6)

고온물질

18

가스 관련 및 기타

7

기타(제품 고장, 식품 섭취, 이물질, 동물에 의한 상해 등)

52

52(26.7)

합계

195

195(100.0)

[ 출처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위해증상별로는 피부가 찢어지거나 베이는 등의 사고가 81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열에 의한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어지러움, 산소결핍 등 난방기기 및 취사기구 이용 중 발생하는 위해증상이 60건(30.8%)*이었다.

* 관련 사례: ’19. 12. 캠핑장에서 텐트 내부에 숯을 피우고 취침 중 중독사고(추정) 발생(사망 1명, 중상 1명)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110건(57.0%)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22건(11.4%), `30대' 19건(9.8%) 순이었으며, `9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사고가 68건(61.8%)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 연령을 알 수 없는 2건을 제외한 총 193건을 분석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캠핑장 이용자들에게 ▲텐트 안에서 난로 등의 난방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삼발이 보다 큰 냄비나 불판을 사용하지 않을 것, ▲화로에 불을 피울 때는 주변에 물을 뿌리고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할 것, ▲텐트 줄을 고정할 때는 야광으로 된 줄이나 끝막이(스토퍼)를 사용하는 등 캠핑장 이용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93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귀리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9.27
159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경관식 음료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9.27
1591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8
1590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9.27
158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3)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7
158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2)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9.27
158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1)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7
1586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3.02.10
1585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액상 마그네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1584 미생물 오염으로 감염이나 염증 유발 위험 있는 Ere Perez 화장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7 2021.05.24
1583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미야자키 토무라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21
1582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Ozona Organics 반려동물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21
1581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ION 비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2.19
1580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7.12
1579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1.09.14
1578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11.04
1577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4
1576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라자냐 소스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6
1575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Kate Farms 영양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0.17
1574 미생물 기준 초과 검출된 피부연고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8.23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