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전화,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 일반국민자영업체의 경제적 피해 예방 활동 강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경찰청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 등을 악용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시도가 늘고 있어 주의를 당부했다.

 

□ ‘마스크 무료배포’, ‘코로나로 인한 택배배송 지연’ 등 코로나19 정보를 가장한 스미싱 문자 시도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코로나19 관련 스미싱 문자 누적 건수 : 9,688건(2. 15.))

 

ㅇ 최근에는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이외에도 전화로 보건당국확진자 등을 사칭하여 일반국민이나 자영업체 등에 금전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기 및 유사 범죄시도 사례*뿐만 아니라,

* 전화로 “나 확진자인데, 당신 식당 갔어”라며 확진자를 사칭하여 금전을 요구, 협박하는 사례

** 전화로 질병관리본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을 사칭하며 방역 등을 위해 금전이나 앱 설치 요구 사례

 

ㅇ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기관 등을 사칭하기 위한 전화번호 조작 시도도 최근들어 증가하는 경향이다. (코로나 19 관련 발신번호 변작 165건(2. 15.))

 

□ 이에,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인한 일반국민 및 자영업체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편 확산 방지를 위해 통신3사와 협력해 모든 국민들에게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경고 문자를 발송하고, 향후 사태 안정시 까지 필요시 즉시 경고 발령을 실시할 방침이다.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 안내 문자내용]

 

1. 최근, 보건당국, 확진자 등을 사칭하거나 코로나19 정보(감염자 경로 정보 등)를 가장하여 전화로 금전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 클릭을 유도(앱 설치 유도)하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시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전화로 금전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 클릭(앱 설치)을 유도하는 경우, 전화를 끊어주시고, 경찰청(☎112) 또는 금융감독원(☎1332)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악성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118센터(☎118)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보이스피싱 전화 등 신고 접수시 사용된 전화번호를 즉시 이용중지하고, 스미싱 문자 등 신고 접수시 인터넷 주소(URL)를 즉시 차단한다.

 

□ 아울러, 보건·의료기관의 전화번호로는 원천적으로 발신번호 변작(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보건당국 등과 협력해 변작 차단 목록에 관계기관 전화번호를 조기에 등록하고, 지속적으로 현행화할 계획이다.

 

□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치들과 병행해 개인의 주의가 요구된다.”라고 하면서, “혹시라도 본인의 개인정보 탈취가 의심되거나 휴대폰을 도난분실하였을 경우에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입제한서비스,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 킬스위치(Kill switch)의 3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붙임 참고)

* 1) 가입제한서비스 : 휴대전화 신규개통·명의변경을 사전에 제한하는 서비스

2)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 : 본인 전화번호로 인터넷문자를 발송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서비스

3) 킬스위치 : 분실폰의 개인정보가 악용되지 못하도록 휴대전화 원격 제어·개인정보 원격 삭제 기능

 

□ 앞으로 정부는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 예방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철저한 대응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관계부처기관과 협력해 추후 국민 불안을 악용하는 유사사례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관련 종합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02-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60 프론트 포크 파손 우려로 부상 위험이 있는 SCOTT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4.04
3459 전원 작동 고장으로 부상 위험 있는 Warn 차량용 윈치 리모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23.04.04
3458 잠수시간 오표시로 감압증 위험 있는 Aqualung 다이브 시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4
3457 기준치 초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검출된 BAGHERA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4.04
3456 롯데온, 하이마트, 전자랜드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04
3455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한 은행사칭 피싱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3.04.04
3454 끼임 사고 발생할 수 있는 Liftmaster 창고문 제어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3
3453 배터리 화재 위험 있는 Hataya 조명기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3.04.03
3452 익사 위험 있는 ULI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03
3451 안전검사 통과하지 못한 Black Diamond 눈사태 위치 송수신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3.04.03
3450 라벨에 미표기된 땅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Drizzilicious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3449 설레는 봄 축제! 안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3
3448 청소년, 고카페인 음료 과다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4.03
3447 투자리딩방 사기 주의 촉구 및 예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3.29
3446 가전제품 판매 올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3.03.27
3445 질병관리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3.24
3444 '슬램덩크' 가품 '굿즈'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3.03.22
3443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3.22
3442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2
3441 앤카몰 / LED&CAR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3.03.22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