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전화,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 일반국민자영업체의 경제적 피해 예방 활동 강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경찰청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 등을 악용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시도가 늘고 있어 주의를 당부했다.

 

□ ‘마스크 무료배포’, ‘코로나로 인한 택배배송 지연’ 등 코로나19 정보를 가장한 스미싱 문자 시도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코로나19 관련 스미싱 문자 누적 건수 : 9,688건(2. 15.))

 

ㅇ 최근에는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이외에도 전화로 보건당국확진자 등을 사칭하여 일반국민이나 자영업체 등에 금전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기 및 유사 범죄시도 사례*뿐만 아니라,

* 전화로 “나 확진자인데, 당신 식당 갔어”라며 확진자를 사칭하여 금전을 요구, 협박하는 사례

** 전화로 질병관리본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을 사칭하며 방역 등을 위해 금전이나 앱 설치 요구 사례

 

ㅇ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기관 등을 사칭하기 위한 전화번호 조작 시도도 최근들어 증가하는 경향이다. (코로나 19 관련 발신번호 변작 165건(2. 15.))

 

□ 이에,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인한 일반국민 및 자영업체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편 확산 방지를 위해 통신3사와 협력해 모든 국민들에게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경고 문자를 발송하고, 향후 사태 안정시 까지 필요시 즉시 경고 발령을 실시할 방침이다.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 안내 문자내용]

 

1. 최근, 보건당국, 확진자 등을 사칭하거나 코로나19 정보(감염자 경로 정보 등)를 가장하여 전화로 금전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 클릭을 유도(앱 설치 유도)하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시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전화로 금전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 클릭(앱 설치)을 유도하는 경우, 전화를 끊어주시고, 경찰청(☎112) 또는 금융감독원(☎1332)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악성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118센터(☎118)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보이스피싱 전화 등 신고 접수시 사용된 전화번호를 즉시 이용중지하고, 스미싱 문자 등 신고 접수시 인터넷 주소(URL)를 즉시 차단한다.

 

□ 아울러, 보건·의료기관의 전화번호로는 원천적으로 발신번호 변작(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보건당국 등과 협력해 변작 차단 목록에 관계기관 전화번호를 조기에 등록하고, 지속적으로 현행화할 계획이다.

 

□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치들과 병행해 개인의 주의가 요구된다.”라고 하면서, “혹시라도 본인의 개인정보 탈취가 의심되거나 휴대폰을 도난분실하였을 경우에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입제한서비스,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 킬스위치(Kill switch)의 3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붙임 참고)

* 1) 가입제한서비스 : 휴대전화 신규개통·명의변경을 사전에 제한하는 서비스

2)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 : 본인 전화번호로 인터넷문자를 발송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서비스

3) 킬스위치 : 분실폰의 개인정보가 악용되지 못하도록 휴대전화 원격 제어·개인정보 원격 삭제 기능

 

□ 앞으로 정부는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 예방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철저한 대응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관계부처기관과 협력해 추후 국민 불안을 악용하는 유사사례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관련 종합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02-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11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0.12.07
301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oriander 고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1.29
3009 자동차 재생에어백 운전자 안전 위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3.09
3008 수입 염장바지락살 섭취로 인한 A형간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5.27
3007 작은 크기와 기준치 초과 자속 지수로 질식 위험 있는 큐브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11.03
3006 납 과다 함유한 야외용 태양광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05.03
3005 항산화제 TBHQ 함유 가능성 있어 리콜된 Regent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12.07
3004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12.14
3003 유리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Freche Freunde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1.16
3002 본격적인 겨울, 12월에는 대설·한파·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0.11.26
3001 살모넬라균 검출된 Davert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1.05.26
3000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마루미야 김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1.11.30
2999 의약품 안전하게 사용하고 올바르게 구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5.02
2998 단추형 전지 노출로 부상 및 질식 위험 있는 Baztoy 원격조종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7.19
2997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3.01.13
2996 찌는 듯한 무더위, 채소는 깨끗하게 씻어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18.08.14
2995 일명“가상통화펀드”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18.10.24
2994 겨울의 끝, 2월에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19.01.24
2993 알레르기 성분 미표시 및 제품명을 잘못 표시한 코이케야 스낵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1.02.25
2992 예방접종주간을 맞아 코로나19 백신 접종 참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2.04.28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