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65세 이상 어르신, 겨울철 낙상으로 응급실 내원이 증가


  - 주로 머리·목(40.3%)을 다치고, 골절(47.3%)이 대부분 차지


  - 응급실 진료 후 입원하는 경우가 65세 미만 환자보다 약 3.5배 높음


 ◇  질병관리본부, 어르신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낙상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한 결과,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낙상 사고가 증가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하였다.


    *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는 것으로 심각한 신체의 손상을 동반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름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4년 동안 낙상으로 인해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27만 6158명으로 이 중 남자가 14만 6661명(53.1%), 여자가 12만 9497명(46.9%)이었다. 


   - 낙상 손상환자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약 13.8% 증가(2015년, 6만 3200명→2018년, 7만 1931명)했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어르신 (7만 2647명, 26.3%), 6세 이하 어린이(5만 7206명, 20.7%)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 한편 겨울철 낙상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약 17.2% 증가(2015년, 1만 5457명→2018년, 1만 8121명)했고, 이 중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약 52.1%로 급증(‘15년, 3,647명→‘18년, 5,546명)하였다.


□ 2018년 겨울철 낙상사고로 65세 이상 어르신이 응급실에 내원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성별) 전체 5,546명으로 여자의 발생빈도(3,484명, 62.8%)가 남자(2,062명, 37.2%)에 비해 약 1.7배 높게 나타났다.


 ○ (시기별) 주중보다는 주말, 주로 낮 시간대에 많이 발생하였다.


 ○ (장소별) 집(53.6%), 길·간선도로(28.4%), 상업시설(6.1%) 순으로 나타났다.


 ○ (활동별) 일상생활(69.5%), 업무(16.6%), 운동·여가활동(12.3%)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았다.


 ○ (손상부위 및 양상) 다친 부위는 주로 머리·목(40.8%)이었고, 골절(48.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응급실 진료 후 결과) 대부분 응급실 내원 후 귀가(61.4%)했지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65세 미만 환자보다 입원하는 경우가 약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르신들은 사소하게 미끄러져 넘어지더라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치료를 하더라도 후유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평소 넘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하시길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또한 어르신들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과 대처요령을 안내했다.


 ○ 넘어졌을 경우, 일어날 수 있을 때는 먼저 호흡을 가다듬고 다친 곳이 없는지 살펴본 후에 일어나도록 한다.  


   - 만약 일어날 수 없을 때는 119에 연락하거나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


 ○ 어르신들이 일상생활에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평소 기본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 첫째,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의 힘을 기르고 균형감각을 키운다.


   - 둘째, 매년 시력 검사를 하고,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시력 조절에 적합한 안경 등을 착용해야 한다.


   - 셋째, 화장실이나 주방의 물기 제거, 환한 조명을 설치하는 등 집안 환경을 안전하게 만든다. 


   - 넷째, 어지러움이나 두통을 유발하는 약을 복용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약을 복용한다면 일어나거나 걸을 때 더 조심한다.

 



[ 질병관리본부 2020-02-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54 찬바람 부는 겨울, 감기약 먹을 때 주의할 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0.11.30
3053 “집에 머무는 우리 아이 안전, 이것만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5.03
305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5.03
3051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2.09.26
3050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페이스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3
3049 수은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Kojie san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048 자석 삼킴 우려 있는 Magnetic Robot Building Block Set 자석 블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047 피부염 및 암을 유발할 가능성 있는 CLARKS 여성용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046 우대금리 금융상품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11.24
3045 작은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인어공주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11.29
3044 배터리 단자함 뚜껑이 분리돼 쉽게 배터리에 접근 가능한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11.29
3043 대출까지 받게 하는 전화금융사기, 회복 불가능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예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3.07.06
3042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19.02.28
3041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BabyBus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2.01
304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5.03
3039 USB케이블 온도 상승으로 고장 날 수 있는 Stadler Form Emma 가습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6.02
3038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4)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7.28
3037 미흡한 접지연결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6.07
3036 HOME 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6.08
3035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8.26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