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65세 이상 어르신, 겨울철 낙상으로 응급실 내원이 증가


  - 주로 머리·목(40.3%)을 다치고, 골절(47.3%)이 대부분 차지


  - 응급실 진료 후 입원하는 경우가 65세 미만 환자보다 약 3.5배 높음


 ◇  질병관리본부, 어르신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낙상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한 결과,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낙상 사고가 증가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하였다.


    *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는 것으로 심각한 신체의 손상을 동반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름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4년 동안 낙상으로 인해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27만 6158명으로 이 중 남자가 14만 6661명(53.1%), 여자가 12만 9497명(46.9%)이었다. 


   - 낙상 손상환자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약 13.8% 증가(2015년, 6만 3200명→2018년, 7만 1931명)했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어르신 (7만 2647명, 26.3%), 6세 이하 어린이(5만 7206명, 20.7%)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 한편 겨울철 낙상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약 17.2% 증가(2015년, 1만 5457명→2018년, 1만 8121명)했고, 이 중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약 52.1%로 급증(‘15년, 3,647명→‘18년, 5,546명)하였다.


□ 2018년 겨울철 낙상사고로 65세 이상 어르신이 응급실에 내원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성별) 전체 5,546명으로 여자의 발생빈도(3,484명, 62.8%)가 남자(2,062명, 37.2%)에 비해 약 1.7배 높게 나타났다.


 ○ (시기별) 주중보다는 주말, 주로 낮 시간대에 많이 발생하였다.


 ○ (장소별) 집(53.6%), 길·간선도로(28.4%), 상업시설(6.1%) 순으로 나타났다.


 ○ (활동별) 일상생활(69.5%), 업무(16.6%), 운동·여가활동(12.3%)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았다.


 ○ (손상부위 및 양상) 다친 부위는 주로 머리·목(40.8%)이었고, 골절(48.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응급실 진료 후 결과) 대부분 응급실 내원 후 귀가(61.4%)했지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65세 미만 환자보다 입원하는 경우가 약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르신들은 사소하게 미끄러져 넘어지더라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치료를 하더라도 후유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평소 넘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하시길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또한 어르신들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과 대처요령을 안내했다.


 ○ 넘어졌을 경우, 일어날 수 있을 때는 먼저 호흡을 가다듬고 다친 곳이 없는지 살펴본 후에 일어나도록 한다.  


   - 만약 일어날 수 없을 때는 119에 연락하거나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


 ○ 어르신들이 일상생활에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평소 기본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 첫째,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의 힘을 기르고 균형감각을 키운다.


   - 둘째, 매년 시력 검사를 하고,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시력 조절에 적합한 안경 등을 착용해야 한다.


   - 셋째, 화장실이나 주방의 물기 제거, 환한 조명을 설치하는 등 집안 환경을 안전하게 만든다. 


   - 넷째, 어지러움이나 두통을 유발하는 약을 복용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약을 복용한다면 일어나거나 걸을 때 더 조심한다.

 



[ 질병관리본부 2020-02-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13 앞바퀴 분리 위험이 있는 유모차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0 2016.10.06
1712 앞바퀴 스포크에 뒤틀려 낙상 위험 있는 Vaude 자전거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1.05
1711 애니큐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20.12.08
1710 애슬리트/Athletekore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3.04.14
1709 애슬리트/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1.31
1708 애플스토어/에이샵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1.13
1707 액상담배 쇼핑몰 JUYOUS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3.25
1706 액상형 디퓨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2.22
1705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중단 강력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0.23
1704 앤카몰 / LED&CAR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3.03.22
1703 야생 버섯 절대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0.10.22
1702 야생버섯 채취가 많은 9월, 독버섯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09.07
1701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계절, 자전거 사고 예방에 헬멧 착용은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5.08
1700 야외활동 많은 가을철, 자전거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10.14
1699 야외활동 많은 나들이 철...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0.13
1698 야외활동 시 벌 쏘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0.08.21
1697 야외활동시 진드기 매개감염병 주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18.04.24
1696 약효 성분이 읽기 힘든 방식으로 표기된 커큐민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2.19
1695 어그(UGG) 부츠 판매하는 사기의심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1.22
»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2.04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