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9,025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3.5%로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32.8%) 대비 0.7%p 증가한 것이다.

(대상별 경험률) 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률은 26.9%로 전년(29.5%) 대비 2.6%p 감소하였으며, 성인은 54.7%로 전년(43.1%) 대비 11.6%p 증가하였다. 특히, 성인의 연령대별 사이버폭력 경험률 조사에서 30~40대의 가·피해 경험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 20대 : ’18년 55%→’19년 56.7%(1.7%p↑), 30대 : ’18년 42%→’19년 57.3%(15.3%p↑)
40대 : ’18년 38.3%→’19년 57.6%(19.3%p↑), 50대 : ’18년 39.5%→’19년 48%(8.5%p↑)

(유형별 경험률)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유형별 가·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언어폭력’이 가장 높았다.(’18년 21.5%, ’19년 26.0%)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16.8%, 피해 16.9%)에서 높은 경험률을 보이는 반면, 성인의 경우 8가지 유형 모두에서 12.7%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이버폭력 발생 공간) 사이버폭력이 주로 발생한 공간으로 학생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가해 54.3%, 피해 45.6%), 성인은 ‘SNS’(가해 39.1%, 피해 35.4%)라고 응답하였다.
※ 인스턴트 메시지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이 포함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가 서로의 의견과 생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이 포함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사이버폭력 가해 이유로 학생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45%)’가 많았으며, 성인은 ‘내 의견과 달라서(34.6%)’가 가장 많았다.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한 후의 심리로 학생과 성인 모두 ’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 51%, 성인 56.1%),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 49%, 성인 5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후의 대응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차단하거나, 나의 ID/이메일을 삭제 혹은 변경’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학생 36.6%, 성인 33.0%)하였다. 피해 후 대응방법으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은 학생의 경우 감소한 반면, 성인은 지속적으로 증가(‘17년 24.2%→’18년 29.2%→‘19년 33.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인식 및 예방대책) 학교 내에서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이 발생하여 문제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하락(‘18년 62%→’19년 60.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교 내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폭력과 관련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44.7%)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부모에 대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교사 90.1%, 학부모 73.2%)하였다. 또한, ‘1인 크리에이터’**(유튜브, 아프리카TV 방송 진행자 등),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 대상 사이버폭력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교사 응답 : ’18년 32.3%→’19년 64.2% (31.9%p↑), 학부모 응답 : ’18년 27.9%→’19년 56.1% (28.2%p↑)
*** 교사응답 : ’18년 33.7%→’19년 54.3% (20.6%p↑), 학부모 응답 : ’18년 37.1%→’19년 50.3% (13.2%p↑)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윤리·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인 1인 크리에이터 및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0-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33 누구나, 무료로, 공항에서 안전체험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82
5632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공유형 모기지 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51
5631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47
5630 누구나 쉽게 실천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1 88
5629 누구나 들어보았지만 어떻게 산정되는지 모르는 위약금에 대해 방통위가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7 13
5628 누구나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공공 웹‧앱 본격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1 17
5627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5626 뇌종양, 개인 유전체 분석으로 맞춤형 치료의 장을 열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5625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로 일상생활 회복을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9 18
5624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가 중요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45
5623 뇌전증 환자, 적극적 치료 및 예방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96
5622 뇌전증 치료제(CBD) 등 공급으로 난치질환 치료기회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36
5621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고위험 노동자에 대한 심층건강진단 지원을 강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19
5620 뇌·뇌혈관 MRI 검사, 뇌질환 의심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건강보험 보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7 20
5619 뇌·뇌혈관 MRI 검사 필수수요 중심으로 보험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6 19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