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9,025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3.5%로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32.8%) 대비 0.7%p 증가한 것이다.

(대상별 경험률) 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률은 26.9%로 전년(29.5%) 대비 2.6%p 감소하였으며, 성인은 54.7%로 전년(43.1%) 대비 11.6%p 증가하였다. 특히, 성인의 연령대별 사이버폭력 경험률 조사에서 30~40대의 가·피해 경험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 20대 : ’18년 55%→’19년 56.7%(1.7%p↑), 30대 : ’18년 42%→’19년 57.3%(15.3%p↑)
40대 : ’18년 38.3%→’19년 57.6%(19.3%p↑), 50대 : ’18년 39.5%→’19년 48%(8.5%p↑)

(유형별 경험률)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유형별 가·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언어폭력’이 가장 높았다.(’18년 21.5%, ’19년 26.0%)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16.8%, 피해 16.9%)에서 높은 경험률을 보이는 반면, 성인의 경우 8가지 유형 모두에서 12.7%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이버폭력 발생 공간) 사이버폭력이 주로 발생한 공간으로 학생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가해 54.3%, 피해 45.6%), 성인은 ‘SNS’(가해 39.1%, 피해 35.4%)라고 응답하였다.
※ 인스턴트 메시지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이 포함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가 서로의 의견과 생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이 포함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사이버폭력 가해 이유로 학생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45%)’가 많았으며, 성인은 ‘내 의견과 달라서(34.6%)’가 가장 많았다.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한 후의 심리로 학생과 성인 모두 ’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 51%, 성인 56.1%),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 49%, 성인 5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후의 대응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차단하거나, 나의 ID/이메일을 삭제 혹은 변경’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학생 36.6%, 성인 33.0%)하였다. 피해 후 대응방법으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은 학생의 경우 감소한 반면, 성인은 지속적으로 증가(‘17년 24.2%→’18년 29.2%→‘19년 33.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인식 및 예방대책) 학교 내에서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이 발생하여 문제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하락(‘18년 62%→’19년 60.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교 내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폭력과 관련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44.7%)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부모에 대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교사 90.1%, 학부모 73.2%)하였다. 또한, ‘1인 크리에이터’**(유튜브, 아프리카TV 방송 진행자 등),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 대상 사이버폭력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교사 응답 : ’18년 32.3%→’19년 64.2% (31.9%p↑), 학부모 응답 : ’18년 27.9%→’19년 56.1% (28.2%p↑)
*** 교사응답 : ’18년 33.7%→’19년 54.3% (20.6%p↑), 학부모 응답 : ’18년 37.1%→’19년 50.3% (13.2%p↑)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윤리·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인 1인 크리에이터 및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0-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5 전국 초.중.고, 학부모부담 교육비 신용카드 납부제도 전면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12
11074 전국 지자체, 올해 소방·복지직 등 지방공무원 3만2,042명 채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9 13
11073 전국 지자체, 개인지방소득세 환급금 2개월 앞당겨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8 10
11072 전국 자동차 매연 특별단속, 2천여 대 개선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2 36
11071 전국 유명해수욕장 청소년 흡연, 음주예방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7 124
11070 전국 유명 제과업체.음식점 위생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0 7
11069 전국 어디서나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 수령도 원하는 곳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6
11068 전국 어디서나 주민등록 전입신고, 주민등록증 신규발급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5
11067 전국 아파트 대상 첫 외부회계감사, 19.4% (1,610개 단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54
11066 전국 수유시설 3,259개소 전체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3
11065 전국 석면건축물 한눈에 파악…종합정보망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39
11064 전국 산후조리원 일제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96
11063 전국 사립대학 입학금 폐지 확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9 38
11062 전국 보건소에서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33
11061 전국 버스터미널, 디지털 범죄(몰카) 안전지대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2 21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