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9,025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3.5%로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32.8%) 대비 0.7%p 증가한 것이다.

(대상별 경험률) 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률은 26.9%로 전년(29.5%) 대비 2.6%p 감소하였으며, 성인은 54.7%로 전년(43.1%) 대비 11.6%p 증가하였다. 특히, 성인의 연령대별 사이버폭력 경험률 조사에서 30~40대의 가·피해 경험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 20대 : ’18년 55%→’19년 56.7%(1.7%p↑), 30대 : ’18년 42%→’19년 57.3%(15.3%p↑)
40대 : ’18년 38.3%→’19년 57.6%(19.3%p↑), 50대 : ’18년 39.5%→’19년 48%(8.5%p↑)

(유형별 경험률)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유형별 가·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언어폭력’이 가장 높았다.(’18년 21.5%, ’19년 26.0%)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16.8%, 피해 16.9%)에서 높은 경험률을 보이는 반면, 성인의 경우 8가지 유형 모두에서 12.7%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이버폭력 발생 공간) 사이버폭력이 주로 발생한 공간으로 학생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가해 54.3%, 피해 45.6%), 성인은 ‘SNS’(가해 39.1%, 피해 35.4%)라고 응답하였다.
※ 인스턴트 메시지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이 포함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가 서로의 의견과 생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이 포함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사이버폭력 가해 이유로 학생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45%)’가 많았으며, 성인은 ‘내 의견과 달라서(34.6%)’가 가장 많았다.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한 후의 심리로 학생과 성인 모두 ’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 51%, 성인 56.1%),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 49%, 성인 5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후의 대응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차단하거나, 나의 ID/이메일을 삭제 혹은 변경’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학생 36.6%, 성인 33.0%)하였다. 피해 후 대응방법으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은 학생의 경우 감소한 반면, 성인은 지속적으로 증가(‘17년 24.2%→’18년 29.2%→‘19년 33.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인식 및 예방대책) 학교 내에서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이 발생하여 문제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하락(‘18년 62%→’19년 60.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교 내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폭력과 관련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44.7%)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부모에 대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교사 90.1%, 학부모 73.2%)하였다. 또한, ‘1인 크리에이터’**(유튜브, 아프리카TV 방송 진행자 등),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 대상 사이버폭력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교사 응답 : ’18년 32.3%→’19년 64.2% (31.9%p↑), 학부모 응답 : ’18년 27.9%→’19년 56.1% (28.2%p↑)
*** 교사응답 : ’18년 33.7%→’19년 54.3% (20.6%p↑), 학부모 응답 : ’18년 37.1%→’19년 50.3% (13.2%p↑)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윤리·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인 1인 크리에이터 및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0-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5 2022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9
11074 2021년 4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39
11073 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51
11072 2021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11071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정확한 사용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11070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대상 중위소득 70%까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3
11069 전화 등 통신수단을 이용해 편리하게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보험업법」, 2월 18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5
11068 건축물 분양제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3
11067 교차로 적색 신호에는 '반드시 정지 후 우회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7
11066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설 연휴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54
11065 설 연휴에도 가정폭력‧청소년 상담 서비스 24시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0
11064 안전하고 건강하게 설 연휴 보내는 방법Ⅰ(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5
11063 안전하고 건강하게 설 연휴 보내는 방법Ⅱ (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0
11062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4
11061 운전면허증이 스마트폰 속으로...모바일 신분증 시대 열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1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