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9,025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3.5%로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32.8%) 대비 0.7%p 증가한 것이다.

(대상별 경험률) 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률은 26.9%로 전년(29.5%) 대비 2.6%p 감소하였으며, 성인은 54.7%로 전년(43.1%) 대비 11.6%p 증가하였다. 특히, 성인의 연령대별 사이버폭력 경험률 조사에서 30~40대의 가·피해 경험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 20대 : ’18년 55%→’19년 56.7%(1.7%p↑), 30대 : ’18년 42%→’19년 57.3%(15.3%p↑)
40대 : ’18년 38.3%→’19년 57.6%(19.3%p↑), 50대 : ’18년 39.5%→’19년 48%(8.5%p↑)

(유형별 경험률)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유형별 가·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언어폭력’이 가장 높았다.(’18년 21.5%, ’19년 26.0%)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16.8%, 피해 16.9%)에서 높은 경험률을 보이는 반면, 성인의 경우 8가지 유형 모두에서 12.7%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이버폭력 발생 공간) 사이버폭력이 주로 발생한 공간으로 학생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가해 54.3%, 피해 45.6%), 성인은 ‘SNS’(가해 39.1%, 피해 35.4%)라고 응답하였다.
※ 인스턴트 메시지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이 포함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가 서로의 의견과 생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이 포함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사이버폭력 가해 이유로 학생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45%)’가 많았으며, 성인은 ‘내 의견과 달라서(34.6%)’가 가장 많았다.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한 후의 심리로 학생과 성인 모두 ’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 51%, 성인 56.1%),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 49%, 성인 5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후의 대응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차단하거나, 나의 ID/이메일을 삭제 혹은 변경’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학생 36.6%, 성인 33.0%)하였다. 피해 후 대응방법으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은 학생의 경우 감소한 반면, 성인은 지속적으로 증가(‘17년 24.2%→’18년 29.2%→‘19년 33.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인식 및 예방대책) 학교 내에서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이 발생하여 문제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하락(‘18년 62%→’19년 60.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교 내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폭력과 관련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44.7%)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부모에 대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교사 90.1%, 학부모 73.2%)하였다. 또한, ‘1인 크리에이터’**(유튜브, 아프리카TV 방송 진행자 등),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 대상 사이버폭력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교사 응답 : ’18년 32.3%→’19년 64.2% (31.9%p↑), 학부모 응답 : ’18년 27.9%→’19년 56.1% (28.2%p↑)
*** 교사응답 : ’18년 33.7%→’19년 54.3% (20.6%p↑), 학부모 응답 : ’18년 37.1%→’19년 50.3% (13.2%p↑)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윤리·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인 1인 크리에이터 및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0-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5 열심히 일한 3040 남성 이제는 혈압관리로 건강 챙기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5 85
11074 커피 한 잔 마시려면, 물 얼마나 필요할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2 85
11073 고금리 수취 등 불법사금융 척결 특별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8 85
11072 도심 하천.도로변 등 오염우려지역 야생 봄나물 섭취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4 85
11071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장 중 소비자 평가 가장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85
11070 방치된 학원의 개인정보 점검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85
11069 해외 인터넷 사이트 판매 제품 구입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5
11068 한국소비자원, 물티슈 업계에 맞춤형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5
11067 무허가 위조 의약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85
11066 대학생 노리는 불법 다단계 판매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85
11065 식약처, 국민의견 직접 수렴하는 양방향 소통채널‘국민소통단’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85
11064 알아두면 도움되는 설연휴 ‘꿀 팁’ 「공공정보 10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5
11063 “교통안전은 높이고, 국민 불편은 줄이고” 대각선 횡단보도 확대하고, 제한속도 탄력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84
11062 해외로부터의 입국 절차와 시간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84
11061 허위·과장 부동산 매물, 더 이상 발붙일 수 없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7 84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