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9,025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3.5%로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32.8%) 대비 0.7%p 증가한 것이다.

(대상별 경험률) 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률은 26.9%로 전년(29.5%) 대비 2.6%p 감소하였으며, 성인은 54.7%로 전년(43.1%) 대비 11.6%p 증가하였다. 특히, 성인의 연령대별 사이버폭력 경험률 조사에서 30~40대의 가·피해 경험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 20대 : ’18년 55%→’19년 56.7%(1.7%p↑), 30대 : ’18년 42%→’19년 57.3%(15.3%p↑)
40대 : ’18년 38.3%→’19년 57.6%(19.3%p↑), 50대 : ’18년 39.5%→’19년 48%(8.5%p↑)

(유형별 경험률)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유형별 가·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언어폭력’이 가장 높았다.(’18년 21.5%, ’19년 26.0%)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16.8%, 피해 16.9%)에서 높은 경험률을 보이는 반면, 성인의 경우 8가지 유형 모두에서 12.7%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이버폭력 발생 공간) 사이버폭력이 주로 발생한 공간으로 학생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가해 54.3%, 피해 45.6%), 성인은 ‘SNS’(가해 39.1%, 피해 35.4%)라고 응답하였다.
※ 인스턴트 메시지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이 포함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가 서로의 의견과 생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이 포함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사이버폭력 가해 이유로 학생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45%)’가 많았으며, 성인은 ‘내 의견과 달라서(34.6%)’가 가장 많았다.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한 후의 심리로 학생과 성인 모두 ’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 51%, 성인 56.1%),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 49%, 성인 5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후의 대응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차단하거나, 나의 ID/이메일을 삭제 혹은 변경’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학생 36.6%, 성인 33.0%)하였다. 피해 후 대응방법으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은 학생의 경우 감소한 반면, 성인은 지속적으로 증가(‘17년 24.2%→’18년 29.2%→‘19년 33.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인식 및 예방대책) 학교 내에서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이 발생하여 문제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하락(‘18년 62%→’19년 60.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교 내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폭력과 관련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44.7%)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부모에 대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교사 90.1%, 학부모 73.2%)하였다. 또한, ‘1인 크리에이터’**(유튜브, 아프리카TV 방송 진행자 등),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 대상 사이버폭력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교사 응답 : ’18년 32.3%→’19년 64.2% (31.9%p↑), 학부모 응답 : ’18년 27.9%→’19년 56.1% (28.2%p↑)
*** 교사응답 : ’18년 33.7%→’19년 54.3% (20.6%p↑), 학부모 응답 : ’18년 37.1%→’19년 50.3% (13.2%p↑)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윤리·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인 1인 크리에이터 및 인터넷, SNS 관련 기업 종사자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0-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92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전국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5591 7월1일부터 방문서비스 종사자 및 화물차주도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5590 커피전문점에서도 카페인 함량 확인하고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8 50
5589 “김장 시기 조금만 늦추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8 50
5588 혼다, 폭스바겐, 스카니아, 포드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4개사 14,21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5 50
5587 2020년 4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상조업자) 등록변경 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50
5586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를 방지하여 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5 50
5585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분들에게 한시 생계지원비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1 50
5584 신혼부부통계로 살펴본 혼인 후 5년간 변화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6 50
5583 소규모 노후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50
5582 해외예방접종완료자도 쿠브(COOV) 통해 접종이력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05 50
5581 국민권익위, ‘독감 예방접종’민원 예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08 50
5580 4월부터, 만 7세 아동도 아동수당 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5 50
5579 실업부조 받으면서 취업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2 50
5578 2022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3 50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