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한 돌봄놀이터, 아동비만 예방에 한 몫!

- 전국 121개 보건소ּ  397개 기관 참여, 과체중·비만 아동 12% 감소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2019년 초등돌봄교실 및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영양ּ 식생활 교육 및 체험, 놀이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아동비만 예방 사업)」을 수행한 결과, 아동 비만율이 3.8%p 감소하고, 영양ּ 식생활 및 신체활동에 대한 지식 및 행태가 개선되는 등 성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 2019년에는 전국 121개 보건소, 359개 초등학교 및 38개 지역아동센터에 참여한 총 1만 1866명의 아동에게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 (ˊ18년) 93개 보건소, 305개 초교 1만 542명 → (ˊ19년) 121개 보건소, 397개 기관 1만 1866명<붙임2 참고>

□ 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참여 전·후 비만도, 영양·식생활 지식 및 행태변화, 신체활동 지식 및 행태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비만율 감소) 사업 참여 전·후 과체중 또는 비만 아동 비율이 참여 전 29.5%에서 참여 후 25.7%로 약 3.8%p 감소하였다.

 

구분

참여 전

참여 후

정상체중군

4,393(70.5)

4,635(74.4)

과체중·비만군

1,843(29.5)

1,601(25.7)

6,236(100.0)

6,236(100.0)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의한 성별·연령별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기준 적용함

(비만) BMI 95백분위수 이상, (과체중)BMI 85-95백분위수, (정상)BMI 5-85백분위수, (저체중) BMI 5백분위수 미만

  

 ○ (영양·식생활 지식 및 행태 개선) 영양지식(100점 만점)은 참여 전 79.54점에서 참여 후 87.65점으로 8.11점 상승하였고, 식생활 태도(100점 만점)는 참여 전 75.51점에서 참여 후 79.94점으로 4.43점 증가하였다.

   - 특히, 사업 대상의 특성(돌봄서비스 이용)을 고려하여 건강간식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육을 실시한 결과, 건강 간식 선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아동이 60.0%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전 응답률 46.9% → 사후 응답률 60.0%, 13.1%p 증가)

 

구분

참여 전

참여 후

변화

영양 지식 점수()

79.54

87.65

8.11점 증가

식생활 태도()

75.51

79.94

4.43점 증가

건강간식 선택 노력 아동(, %)

2,925(46.9)

3,737(60.0)

13.1%p 증가

  

 ○ (신체활동 지식 및 행태 개선) 신체활동 지식(100점 만점)은 참여 전 69.70점에서 참여 후 77.46점으로 7.76점 상승하였고, 참여 전 대비 참여 후 운동행동변화 단계의 최상위 단계인 유지단계에 있는 아동의 비율이 사전 11.3%에서 사후 22.8%로 11.5%p 증가하였다.
   
  - 사업 참여 아동 중 하루 1시간 이상 운동하는 비율이 사전 32.3%에서 사후 43.1%로 10.8%p 증가한 반면, 1시간 이상 TV 시청 및 컴퓨터게임을 하는 아동의 비율은 사전 46.5%에서 사후 41.5%로 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참여 전

참여 후

변화

신체활동 지식 점수()

69.70

77.46

7.76점 향상

하루1시간 이상 운동 아동(,%)

2,015(32.3)

2,689(43.1)

10.8%p 증가

하루1시간 이상 TV시청 및 컴퓨터 게임 아동(,%)

2,905(46.5)

2,591(41.5)

5%p 감소

  

□ 또한, 사업참여 아동, 부모, 학교·지역아동센터·보건소 담당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참여 아동 96.1%, 참여 아동의 부모 87.5%, 초등학교 및 지역아동센터 사업담당자 91.0%, 지역보건소 사업담당자 75.8%가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 참여 아동 93.6% 및 사업관계자(부모, 사업담당자 등) 89.0%가 2020년에도 다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구분

참여아동

(n=6,236)

학부모

(n=1,216)

참여기관 담당자

(n=145)

보건소 담당자

(n=99)

프로그램 만족

5,992(96.1)

1,064(87.5)

132(91.0)

75(75.8)

ˊ20년 사업 재참여 희망

5,838(93.6)

1,094(90.0)

127(87.6)

79(79.8)

  

□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2016년 시범운영으로 시작한 사업이 올해에는 전체 보건소의 50% 이상이 참여하는 사업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사업의 양적확대 뿐 아니라 내실화를 통해 보다 실효성 있는 사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사업운영 상시 기술지원, 교육매체 개발·보급 등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 보건복지부 2020-01-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88 2월 17일부터 서울·경기 전지역 고양이 동물등록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2 81
8287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2 118
8286 보건용 마스크.손소독제, 긴급수급 조정조치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2 75
8285 봄철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78
8284 정부, 2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95
8283 2019년 처음 실시한「만3세 아동 소재·안전 전수조사」완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49
8282 밸런타인데이 대비 초콜릿류 제조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43
8281 방통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개인정보 불법유포에 엄정 대응키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28
8280 [해명]감염병 무서워 여행 취소했다면 환불...보도 관련_(조선비즈 2.10)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19
8279 불가피하게 인근 새 집으로 이사했어도 이주자택지 공급대상자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29
8278 마스크·손소독제 온라인쇼핑 피해 집중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0 34
8277 불법영업 펜션 등 영리목적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0 34
8276 아파트 환기설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낮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32
8275 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23
8274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국내 발생 현황(일일 집계통계, 9시 기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37
Board Pagination Prev 1 ...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