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설 연휴(1.24.~27.) 중 세화(행운 부적) 나눔, 제기차기, 투호 등 풍성한 민속놀이도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나명하 본부장)는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연휴기간(1.24.~27./4일간)에 전 국민을 대상으로 4대궁‧종묘, 조선왕릉을 휴무일 없이 무료개방(창덕궁 후원만 제외)한다. 아울러 평소 예약제로 운영되는 종묘도 연휴기간에는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더불어 경복궁에서는 연휴 첫날인 1월 25일(음력 1.1.)에 새해를 기념하여 오후 2시 수문장 교대의식을 마친 후에 불화장(국가무형문화재 제118호) 전수교육조교가 그린 수문장과 종사관 그림을 나누는 ‘2020 세화(歲畫) 나눔’ 특별 행사를 진행된다. ‘세화’란 새해 첫날 세시풍속으로 경복궁을 지키는 수문장과 종사관을 그린 세화는 내 가족의 안녕을 지켜주는 행운의 부적과 같은 의미를 지녀 관람객들에게 뜻깊은 선물이 될 것이다.
 * 불화장: 불교를 주제로 그려지는 불화를 그리는 장인(국가무형문화재 제118호)  
 * 세화: 새해 첫날의 세시풍속의 하나로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사전에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내용의 그림을 그려 나눔. 문짝에 주로 붙이기 때문에 문배(門排) 또는 문화(門畫)라고도 하였음


  또한, 덕수궁(서울 중구), 세종대왕유적관리소(경기도 여주시)에는 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제기차기, 투호, 윷놀이 등 다양한 전통 민속놀이가 마련되어 가족, 친구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현충사관리소(소장 김재일)는 24일부터 2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충무문 앞 광장에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윷놀이, 제기차기, 굴렁쇠 굴리기, 전통 딱지치기, 투호 등 민속놀이 행사를 진행한다.


  칠백의총관리소(소장 류시영)에 24일부터 26일까지 방문한 관람객들은 광장에서 펼쳐지는 전통제기 만들기와 투호, 윷놀이 등 민속놀이 체험을 즐길 수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해양유물전시관 야외광장과 라운지(휴게실)에서 ▲ 경자년 흰쥐 이야기, ▲ 민속놀이 체험, ▲ 만들기 체험 등 3가지 주제로 ‘해양문화재와 2020년도 함께 하쥐’ 행사를 펼친다.


  경자년 흰쥐 이야기는 쥐의 상징과 의미, 쥐와 관련된 속담, 쥐와 관련된 설화, 사진촬영구역인 ‘2020년도 함께하쥐’ 등으로 구성되며,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대형윷놀이, 사방치기, 굴렁쇠 굴리기, 투호놀이, 제기차기, 공기놀이, 팽이치기의 민속놀이 체험과 어린이들을 위한 소원 담은 ‘경자년 연만들기’, ‘생쥐 저금통 만들기’ 등도 열려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즐거운 연휴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설 문화행사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담당 부서로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 경복궁관리소(☎02-3700-3918)            * 덕수궁관리소(☎02-751-0740)
  * 세종대왕유적관리소(☎031-880-4706)  * 현충사관리소(☎041-539-4603)
  * 칠백의총관리소(☎041-753-8702)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061-270-2049)


  문화재청은 한 해를 시작하는 설 명절을 맞아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인 고궁과 왕릉에 가족과 함께 부담 없이 방문해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둘러보면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즐겁고 유익한 시간을 보내길 기대한다.



[ 문화재청 2020-01-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45 제2기(‘15∼’17년) 전문병원 111개 병원 지정 소비생활센터 2015.01.02 487
13844 모든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 명칭을 「해바라기센터」로 통일, 이용자 혼선 없앤다 cunsumer 2015.01.02 535
13843 2015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본인부담상한액 적용 cunsumer 2015.01.02 573
13842 해양심층수 모든 식품에 사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59
13841 2015년 식·의약품 안전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57
13840 해외 여행지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2
13839 미용실‧숙박업 폐업신고 세무서나 구청 한 곳에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505
13838 폐 망가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최근 진료인원 감소 추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3
13837 한약재 GMP 전면의무화로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79
13836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03
13835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금 청구시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29
13834 아동권익 보호를 위한 입양기관 행정처분 기준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96
13833 “「한국의 밥心」쌀은 식량이기 이전에 우리의 정체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9
13832 4-메틸이미다졸 기준초과‘카라멜색소’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11
13831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