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유행주의보 발령(2019.11.15.)이후 지속적으로 환자 발생 증가(45주 7.0명→ ‘20.1주 49.1명)
◇ 발열, 기침 등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
◇ 인플루엔자 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한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1월 15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유사증상환자)*가 지속 증가하면서 유행이 지속되고 있어(20년 제1주 외래환자 천명당 49.1명)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요양시설 등 집단시설과 가정 등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와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5.9/1,000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공식 : 과거 3년간 비유행기간 평균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 + 2×표준편차)

 

 

< 그림 붙임 참조 >

 ○ 올해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속도는 지난 3년에 비해서는 낮다.

 ○ 연령별로는 7-12세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이 가장 높은 등 집단생활을 하는 초·중·고생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19.51주(12.15-21.) 외래환자 천명당 37.8명 → 52주(12.22-28.) 49.8명 → ‘20.1주(12.29-1.4) 49.1명
     (7~12세): 51주 102.2명 → 52주 128.8명 → ‘20. 1주 113.2명(/외래환자 1,000명)
     (13~18세): 51주 61.3명 → 52주 91.1명 → ‘20. 1주 93.6명(/외래환자 1,000명)

< 그림 붙임 참조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 결과 2019-2020절기 시작(2019.9.1.) 이후 제1주까지(2020.1.4.) 총 596건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중 A(H1N1)pdm09는 430건(72.1%), A(H3N2)는 147건(24.7%) 그리고 B(Victoria)는 19건(3.2%)이었고,
  - 검출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오셀타미비르 계열* 항바이러스제에 내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타미플루캡슐 등 경구투여용 항바이러스제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감염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미접종자는 빠른 시일 내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 (예방접종률)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76.9%(6세 이하 84.4%, 7∼9세 75.4%, 10∼12세 64.6%), 임신부 33.8%, 만 65세 이상 어르신 83.4%(’20.1.8.기준)

 ○ 특히,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들과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낮은 10~12세 어린이는 봄까지 유행이 지속되므로 아직 맞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예방접종을 완료하도록 당부하였다.

□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소아,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환자는 유행주의보 발령 시 인플루엔자 검사 없이 항바이러스제의 요양급여가 인정되므로, 38℃이상의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 같은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였다.(붙임11 참조)

 ○ 소아·청소년에서 경련과 섬망 등으로 인한 이상행동이 보도된 바 있는  오셀타미비르 계열 항바이러스제* 부작용 논란과 관련해서는, 세계적으로 인과관계가 인정되고 있지 않으나,
  - 의료인에게는 인플루엔자 진료 시 이상행동 등 해당 증상 발생에 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는 충분한 설명을, 환자 보호자에게는 이상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발병 초기에 주의 깊은 환자 관찰을 당부하였다.
   * 타미플루캡슐 등 경구투여용 항바이러스제


□ 아울러, 유행기간 동안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요양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인플루엔자 예방관리 강화를 요청하였다.

 ○ 영유아나 학생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었을 경우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해열제 없이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한 후 24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및 학원 등에 등원·등교를 하지 않도록 하고,

 ○ 노인요양시설 등 고위험군이 집단생활하는 시설에서는 직원 및 입소자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입소자의 인플루엔자 증상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방문객의 방문을 제한하며, 유증상자는 별도로 생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은 예방접종을 완료할 것”과,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20-01-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09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3.29
1508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11.29
1507 만 12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미접종 이유의 73.5%는 부작용 걱정, 실제로는 심각한 부작용 ´0´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7.08.17
1506 막바지 겨울, 2월에는 한파, 대설,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1.01.29
1505 마스크 피부 발진, 화장품으로 개선? 믿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1.01.28
1504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3.16
1503 마사지건 안전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9.06
1502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변동상황(2016.3.8.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89 2016.03.10
1501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3월14일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9 2016.03.16
1500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20
1499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3.12.04
1498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17.07.10
1497 린트(Lindt) 초콜릿, 알레르기 성분 표시 미흡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07 2020.05.21
1496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9
1495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4 2017.05.19
1494 리튬이온배터리 오염돼 발열 및 화재 위험 있는 수소수 제조기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1493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1492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3.04.07
1491 리튬 이온 배터리 불량으로 발열 및 발연 우려 있는 파이오니아 블랙박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1.06.24
1490 리커머스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