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부터 전국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제공된다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속 인터넷(100Mbps) 보장 -

- 인터넷 사각지대 없는 초연결사회로 한걸음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20년 1월부터 초고속 인터넷이 보편적 서비스로 지정됨에 따라모든 지역의 국민이 요청하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보편적 서비스는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 서비스로, 우리나라는2000년부터 시내전화, 공중전화음성 서비스를 위주로 보편적 서비스로 제공해왔다.

 

ㅇ 데이터 서비스 이용 증대에 따라’16년부터 정부 초고속인터넷을 보편적 서비스로 지정하기 위해 해외사례, 시장 상황 등을 조사하고, ’17년 국정과제로 선정, 연구반을 구성하여 제도 개선을 추진하여 왔고

 

- 이번에 보편적 서비스 제공사업자로 KT지정하고, 인터넷 제공 속도, 손실보전율 등 세부 고시 개정안을 확정하였다.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8번째 초고속인터넷보편적 서비스로 제공하지만, 지정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인 100Mbps제공한다.

 

ㅇ 우리나라는 광케이블 기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1위이나, 여전히 88만 개 건물에서 초고속인터넷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다.

 

- 이번 초고속인터넷의 보편적 서비스 제공으로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인터넷 서비스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영국(’20.3월 예정) 해외에서는 1~10Mbps 속도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비교하여, 국내는 월등히 빠른 100Mbps 속도로 제공하여, 세계 IT강국 위상을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보편적 서비스로 초고속인터넷 제공되는 속도> (단위 : Mbps)

국가

미국

(11년)

스페인

(11년)

스위스

(06년)

핀란드

(09년)

몰타

(11년)

크로아티아

(15년)

스웨덴

(11년)

한국

(20.1월)

영국

(20.3월)

속도

10

1

2

2

4

1

1

100

10

 

어떠한 사업자로부터도 인터넷제공받지 못하는 국민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초고속인터넷을 신청할 수 있다.

 

초고속인터넷 보편적 서비스홈페이지*(www.ius-guide.kr)·콜센터(☎1466-46) 통해 건물 주소를 입력하여, 현재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조회할 수 있다.

* 운영기관 :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ㅇ 그 결과, 초고속인터넷 사업자가 없을 경우 보편적 서비스 제공사업자인 KT에 초고속인터넷을 신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보편적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한 손실의 60%는 매출액 300억 원 이상의 기간통신사업자가 분담한다.

 

□ 이번 제도 개선으로 정부는 농어촌, 산간지역 등 네트워크 사각지대의 이용자는 다양한 일상 생활에서 초고속인터넷이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ㅇ 홍진배 통신정책관은 “초고속인터넷을 기본적 전기통신역무인 보편적 서비스로 지정하여 이용자의 통신기본권을 4차산업혁명시대 핵심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까지 폭넓게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고, 데이터 디바이드(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정부는 앞으로도 데이터시대에 맞게 보편적 서비스 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0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0 청년 취업률이 높은 국가기술자격은 무엇일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31 9
1729 '22년 12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31 30
1728 개인ㆍ소상공인의 상표권 획득 쉬워진다! 부분거절제도ㆍ재심사 청구제도 도입 「상표법」, 2월 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31 15
1727 밴드형 신생아 기저귀, 흡수성능 등 품질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31 17
1726 국민권익위,“행정청이 착오로 공유재산 이중매매 했다면 매매대금 반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11
1725 숨은 금융자산 발생을 예방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금융회사 소비자보호기준을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27
1724 공공분양주택 뉴:홈 사전청약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25
1723 식약처, 1분기 배달음식점 집중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17
1722 음식점 위생관리, 식약처가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15
1721 국민권익위, “잘못 지급된 공공재정지급금 환수시 이자면제 등 국민권익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22
1720 은행 사칭 피싱사이트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7
1719 「안심전세 App」으로 전세사기 사전 예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10
1718 곰팡이독소 초과 검출된 수입 ‘커피원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8
1717 국민권익위, 지역주민 권익보호를 위해 시민고충처리위원회와 ‘맞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7
1716 개발제한구역 내 찾아가는 교통약자 편의지원사업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20
Board Pagination Prev 1 ...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