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겨울철 폭설·결빙에 대비하여 이달부터내년 3월까지(‘15.11.15∼‘16.3.15) 본격적인 철도안전관리 강화 작업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먼저 차량과 운전·관제·신호·전기 분야에 대한 철도안전감독관의 점검을 27일까지 완료(11.10∼11.27)하여 장애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철도운행안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철도 건설현장 및 운행선로 인접 공사현장에 대해서는 폭설에 취약한 절·성토 사면, 가시설, 옹벽 등의 안전저해 요인을 사전에 발굴하여 보강 조치할 계획이다.
* 안전점검 : ‘15.11.9∼11.27, 철도안전정책관(점검단장), 철도안전감독관 등 국토부(11명), 외부전문가(9명), 공사(10명) 등 총 30명(6개조)

이와 함께 겨울철 폭설·결빙 취약구간 집중점검, 제설장비 분산배치 등 철도운영기관의 동절기 안전관리대책 준비 상황도 점검한다.
* 점검회의 : ‘15.11.18, 철도안전정책관(주재), 철도공사 등 7개 기관 참석

주요 내용을 보면, 폭설·결빙에 취약한 구간에는 디젤기관차용 제설기(6개소)ㆍ장비(굴삭기 33대, 염화캴슘 7,383포) 등을 적재적소에 분산배치 하여 제설 대비 태세를 강화한다.

차량 엔진, 제동장치 등 겨울철 고장 취약 부분에 대해서는 차량정비를 강화하고, 선로전환기 히팅 장치, 전차선 해빙 시스템 및 터널 등 결빙 취약개소는 상시점검을 강화한다.

이밖에도 이용자들에게 안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역사 내 안전 수칙 홍보 캠페인을 운영기관과 함께 실시(11.9∼11.11)한데 이어 동영상 홍보물.안전수칙 포스터 등을 통한 홍보도 지속할 계획 이다.

구본환 철도안전정책관은 “동절기는 폭설·결빙·혹한으로 인한 사고위험이 높은 만큼 안전사고 인해 국민불편이 없도록 철도안전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재해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보고 체계를 확립하고 철도 이용객의 불편․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철도안전 상황반’을 운영할 계획(운영기관은 동절기 비상대책반 운영)이다.

 

[국토교통부 2015-1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4 식품첨가물 용도 중심으로 분류체계 개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89
1633 북한산 건조 능이버섯 방사능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98
1632 겨울철 재해는 이렇게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105
1631 참기 힘든 치핵, 생활습관으로 예방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110
1630 환자 안전을 위해 의료인 면허 관리체계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152
1629 LPG승용차 불법 사용자, 일제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86
1628 항공기 조종사 정신건강 ‘체계적 관리’ 지침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100
1627 현대, 에프씨에이, 벤틀리, 포르쉐, 볼보, 혼다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92
1626 친구와 함께하는 겨울방학 청소년 금융교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78
1625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식품의 표시 방법 변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74
1624 ‘겨울 느끼기 좋은 농촌체험휴양마을 10선’선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82
1623 2015년 쌀·밭·조건불리직불금 1조 134억원 지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163
1622 프랑스산 가금, 가금육 등 수입금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82
1621 10월말 전국 미분양 32,221호, 전월대비 0.9% (303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85
1620 내년 봄 가뭄 대비 1월부터 ‘가뭄 예ㆍ경보’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79
Board Pagination Prev 1 ...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