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공공임대주택 세대구성원인 자녀가 결혼 등으로 주택 취득 후 전출신고를 늦게 해도 합리적 사유가 있다면 임대계약이 유지된다. 또 소액체납자의 장기압류재산을 일정 기간 내 매각하거나 해제해 경제적으로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임대주택·조세·연금 분야 사회취약계층의 고충민원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기획조사를 실시하고 관계기관에 개선토록 권고했다.
  
개선방안에는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퇴거 예외사유 확대 ▲ 소액체납자 장기압류재산 매각·해제 ▲ 근로자에게 사업주의 국민연금 체납사실 주기적 통보 등 사회취약계층의 주가안정과 경제적 재기기회를 부여하고 근로자의 노후보장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퇴거 예외사유’ 확대...
사회취약계층 주거안정 강화한다

□ 국민권익위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처리한 ‘공공임대주택’ 관련 민원분석 결과, 인용된 민원의 82%가 공공임대주택 퇴거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1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본인과 배우자, 세대구성원 모두 무주택자여야 하며, 한 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할 경우 임대계약이 해지된다.

그러나 세대구성원인 자녀가 결혼 등으로 주택을 구입했지만 보수공사로 인해 전출신고*를 늦게 한 경우 또는 10년 이상 연락이 두절된 배우자가 주택을 구입하는 등 임차인의 고의나 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임대주택 거주자 전원이 퇴거 조치되곤 했다.
* 주택을 소유하게 된 자는 소유권 취득일부터 14일 이내 전출신고를 해야 함
  
이에 국민권익위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세대구성원의 불가피한 전출신고 지연 등 합리적 사유가 있는 경우 임대주택 계약해지 예외*를 인정하도록 국토교통부에 권고했다.
 
2
 
소액체납자 ‘장기압류재산’ 조기 매각...
영세상인·중소기업인 경제적 재기를 돕는다

□ 국세·지방세 등 세금 납부의무는 납부기한일로부터 통상 5년(5억 원 이상 국세는 10년)이 지나면 소멸되나 과세관청이 체납자 재산을 압류하면 소멸되지 않는다.
  
때문에 체납자는 신용하락, 출국규제, 관허사업 제한 등 여러 가지 불이익을 받게 되고 과세관청의 압류재산 매각이 늦어지면 경제적 재기 기회마저 늦어지게 된다.
  
국민권익위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처리한 ‘압류 해제 요구’ 민원분석 결과, 과세관청이 압류 재산을 매각하지 않고 10년 이상 방치한 경우가 전체 민원의 40%를 넘었다.
 
3

이에 국민권익위는 분할납부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과세관청이 일정 기간 내에 압류재산을 매각하고 경제적 가치가 없는 재산은 압류를 해제하도록 해 체납자에게 경제적 재기 기회를 부여하도록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세청에 권고했다.
  
다만,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대다수 국민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영세상인·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 소액체납자의 장기압류재산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하도록 했다.
  
압류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재산에 대해서는 국세체납정리위원회 등 에서 체납처분 중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도록 해 절차의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압류 재산 가치의 신속·정확한 평가를 위해 평가기준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사업주의 ‘국민연금 체납사실’ 주기적 통보...
근로자의 연금손실을 사전에 예방한다

□ 근로자의 국민연금 보험료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씩 부담하고 사업주가 매월 임금에서 원천 공제해 납부해야 한다. 단, 사업주가 보험료를 체납한 경우 근로자는 공단에 개별적으로 납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업주의 보험료 체납 사실이 최초 1회만 근로자에게 통보되고 이후부터는 통보되지 않아, 근로자는 사업주의 보험료 체납 사실이 계속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근로자의 권익과 노후보장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주의 보험료 체납 사실과 구제방법 등을 근로자에게 주기적으로 안내하도록 국민연금공단에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권태성 부위원장은 “사회취약계층의 고충민원은 생존권과 직결된 경우가 많아 근원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라며, “이분들의 고충을 분석해 개선방안을 마련한 만큼 실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권익위는 앞으로도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분석해 수혜자의 입장에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12-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13 무인민원발급기 주민등록등․초본 발급. 이제 제출기관만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8 23
82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8 11
8211 건강한 돌봄놀이터, 아동비만 예방에 한 몫!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8 42
8210 2020 문화누리카드 지원금 1만 원 인상, 9만 원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8 23
8209 '19년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국 80.5만건, 서울 13.1만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108
8208 보조 연장보육교사 채용 지원을 위해 사용자부담금 30%를 어린이집에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102
8207 국민콜 ☎110, 설 연휴에도 24시간 정상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113
8206 타워크레인·덤프트럭 안전장치 설치 의무화 “건설기계, 사고예방 위해 안전기준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86
8205 1월 23일에 인상된 기초연금 처음 지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124
8204 설 연휴, 아파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65
8203 2020년 표준단독주택 가격 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52
8202 설 연휴, 쓰레기는 줄이고 행복은 채우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56
8201 대리운전 중 교통법규 위반 빈번해 사고 우려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58
8200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23
8199 특허만료 의약품, 한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41
Board Pagination Prev 1 ...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