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 정부혁신 BI 수정 최종 (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61pixel, 세로 1772pixel

행정안전부 지방인사제도과

  채수경 (044-205-3341)

사무관 전용우 (044-205-3357)

관계부처 합동

2019 12 24() 석간

(12. 24. 10:00 이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사혁신처 복무과

    (044-201-8440)

사무관 박종복 (044-201-8445)

국방부 양성평등정책과

  정정숙 (02-748-5170)

사무관 장정예 (02-748-5173)

 공직사회 임신·출산·육아 지원 체계 강화된다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지방공무원 복무규정」,「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 국방부(장관 정경두) 공직사회 가정친화적 근무여건 강화를 위한국가공무원 복무규정,지방공무원 복무규정,「군인의 지위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개정안 24 국무회의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일과 병행하여 임신·출산·육아를 함께 있는  가정친화적 근무여건 보다 강화하는 의미가 있다.

  먼저, 유산이나 사산으로 인한 아픔을 부부가 함께 극복하고 충분한 회복을 지원할 있도록 유산·사산휴가를 강화하였다.

    - 임신 초기 유산 확률이 80% 점을 감안하여 임신 11 이내 유산·사산 휴가일수를 종전 5일에서 10일로 확대하여 임신 초기 여성 공무원(군인) 정신적·신체적 회복을 적극 지원할  있게 하였다.

    - 또한, 유산이나 사산한 배우자 남성 공무원(군인) 3 휴가 신설하여 부부가 같이 심리치료를 받거나 배우자 회복 지원  부성(父性)권도 보호할 있도록 하였다.

 

   

<  >  

 

<  >

대상

임신기간

휴가일수

휴가일수

여성

11주 이내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5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10

12주 이상 15주 이내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10

16주 이상 21주 이내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30

(현행과 동일)

22주 이상 27주 이내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60

28주 이상

유산‧사산한 날로부터 90

남성

-

별도 휴가 없음

3(신설)

  임신한 여성공무원(군인) 건강한 출산을 위하여 임신검진에 필요한 휴가 사용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있도록 개선하였다.

    - 기존에는 여성보건휴가로 임신기간 동안 매월 1일만 사용할 있었으나 ‘임신검진휴가’ 명칭 변경하고, 임신기간 10일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사용 있도록 하였다.

    - 이로써, 임신 초기 출산이 임박한 시기 집중적으로 검진과 치료 받을 있게 되어 산모와 태아의 건강한 출산을 위한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

여성보건휴가

생리기간 중 휴식사유

(매월 1, 무급)

여성보건휴가

생리기간 중 휴식사유

(매월 1, 무급)

임신검진의 사유

(매월 1, 유급)

임신검진휴가 

임신검진의 사유

(임신기간 내 총 10, 유급)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대응하기 위하여 자녀돌봄휴가 다자녀 가산 기준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했다.

   - 자녀 이상을 부모 공무원(군인) 1일을 가산한 연간 3 자녀의 학교행사, 학부모 상담, 병원진료 등에 활용할 있게 된다.  

   

<  >

 

<  >

2자녀 이하

 연간 2일 부여

1자녀

 연간 2일 부여

3자녀 이상 

 연간 3일 부여 (1일 가산)

2자녀 이상

 연간 3일 부여 (1일 가산)

 

  한편, 배우자 출산휴가 민간부문과 동일하게 출산일로부터 90 이내 사용 있게 기한을 확대하고, 1 분할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 이를 통하여 아내의 출산휴가 기간 내에 출산과 산후조리 배우자의 효과적인 조력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

 10일 부여

 10일 부여

 출산일로부터 30일 내

 출산일로부터 90일 내

 분할사용 불가

 분할사용 가능(1)

    ※ 「남녀고용평등법」 제18조의2: 배우자 출산휴가는 배우자가 출산한 날부터 90일 이내에 사용하되, 1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 가능(2019.10. 시행)

아울러, 국민의 신뢰를 받는 공직사회가 되기 위하여 복무기강 확립 필요한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조치 의무 명시하였다.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속 공무원에 대해 1 이상 근무시간, 출퇴근, 당직, 출장, 휴가 복무 실태를 점검하고 3 이상 적발된 자에 대해서는 징계의결 요구 의무화해야 한다.

행정안전부 이재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저출산 문제 해결은 국가적인 과제로서 일·가정 양립 우리 사회 전체의 삶의 질과 관계가 깊다”면서 “공무원 복무제도 개선을 통해 부부가 함께 일과 육아를 병행해 나갈 있는 환경과 문화를 조성 나가겠다” 말했다.

[행정안전부 2019-12-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98 스마트오더 방식의 주류 통신판매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8
8197 스마트서비스 확대로 전기차충전기 편리하게 이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4 37
8196 스마트병원, 디지털 기술로 더 안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9 15
8195 스마트밴드, 칼로리 소모량 측정 정확도 등에서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44
8194 스마트러닝 패키지, 청약철회 제한하는 거래조건 개선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7 55
8193 스마트국민제보가 안전신문고로 통합, 모든 교통법규 위반은 안전신문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2 42
8192 스마트 학습지, 중도 해지 위약금에 대한 소비자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3 46
8191 스마트 학습지 포장 뜯어도 청약 철회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23
8190 스마트 폰으로 미납 교통과태료ㆍ운전면허 조회 가능해 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5 13
8189 스마트 체중계, 제품별로 체중 정확도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5 15
8188 스마트 주소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인공지능 로봇 배송 촉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25
8187 스마트 도어록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9 30
8186 스리랑카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8185 슈퍼곡물, 너 누구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6 84
8184 쉽고 명확한 국외여행정보 제공 노력이 확산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79
Board Pagination Prev 1 ...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