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부혁신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9pixel, 세로 50pixel

작성과

행정서비스통합추진단

정부24운영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행정안전부_국_상하.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1pixel, 세로 605pixel

2019 12 20() 조간

(12.19. 12:00 이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조성하

사무관 전미정

주무관 이응구

연락처

02-2100-4136

이사하셨어요? 전입신고와 요금감면 신청을 정부24에서 번에

- 행안부, 20일부터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 시범운영 -

 

아이 셋을 키우는 ㄱ씨는 다자녀 가구로 정부로부터 양육수당, 에너지 요금감면 등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 최근 넓은 집으로 이사를 하게 된 OOO씨는 어느 날 전기, 가스요금 고지서를 받고 깜짝 놀랐다. 평소보다 요금이 많이 나왔기 때문인데 확인해보니 이사를 할 때마다 매번 요금감면 신청을 다시 해야 감면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앞으로는 정부24에서 전입신고를 함께 신청하면 ㄱ씨처럼 이사할 때마다 전입신고 따로, 전기요금 감면신청 따로, 도시가스 요금감면 신청을 따로 하는 불편함이 사라진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정부24(www.gov.kr)에서 전입신고와 동시에 전기·도시가스 요금·지역난방비 감면을 통합 신청하는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시범서비스를 20일부터 시행한다고 19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우선적으로 지역난방비 감면신청을 시범시행하고 내년 3월부터는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까지 일괄 통합신청할 있도록 계획이다.

복지대상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장애인 ), 보훈대상자, 다자녀가구 사회적 배려대상자는 TV수신료,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 지역난방비의 일부를 감면받을 있다.

   * 감면요금 예시 : 장애인 및 다자녀가구의 전기요금 월 최대 16,000원 감면

 

  지난해 기준 국내 요금감면 가구 수는 388 가구(전기요금 2,547,794, 도시가스 1,266,295, 지역난방비 62,017)이며 2018 한해동안 103 (전기요금 544,910 도시가스 390,517 지역난방비 93,810) 요금감면 신청이 기관에 접수됐다.

  요금감면은 자격을 가진 대상자가 해당기관에 직접 신청하여 혜택을 받게 되는데 주소를 이전하게 되면 요금감면기관에 개별적으로 다시 신청해야하고 다시 신청하지 않으면 요금감면 혜택이 중단되는 불편이 있다.

   그나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장애인 복지대상자의 경우에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 중인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요금감면을 통합 신청할 있으나 다자녀가구, 대가족, 보훈대상자의 경우는 기관 사이트를 찾아 요금 감면을 별도로 신청해야 했다.

이재영 정부혁신조직실장은 “디지털 정부혁신의 기본정신은 몰라서 혜택을 못받는 국민들이 없도록 하는 것으로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서비스가 많은 요금감면대상자에게 편리함을 더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전입신고와 관계없이 사회적 배려대상자 모두가 정부24에서 요금감면을 통합신청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2019-12-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01 경찰청, 보이스피싱 피해 심각성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8 35
8200 화상 사고 발생한 나디 해피바디 족욕기(BM-202) 무상수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8 129
8199 국민은 알기 쉽고 재활용은 잘 되고…분리배출 안내서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8 46
8198 승차 구매점(드라이브 스루)등 차량 진·출입로…'보행자 안전'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23
8197 금융꿀팁 200선- 87 자동차 운전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3가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25
8196 중환자 생명권 보호를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 시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3
8195 식약처, 수입식품 현지 생산단계 안전관리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21
8194 총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4
8193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및 HACCP 허위표시 업체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41
8192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신고는 쉽게, 출동은 빠르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0
8191 상조회사가 소비자의 계약해제 신청을 방해하는 사례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5
8190 산란계 농가의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29
8189 매매한 부동산의 재산세는 누가 부담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43
8188 내년부터 자율주행 버스·화물차 일반 도로에서 만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3
8187 기초연금 ‘소득역전방지 감액제도’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116
Board Pagination Prev 1 ...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