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키장 안전사고의 45.0%가 골절사고로 나타나

- 슬로프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많아 소비자 주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본격적인 스키시즌을 맞아 스키장 내에서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사고의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스키장 안전사고는 최근 5시즌*('14년~'19년) 동안 총 761건이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되었다

* 한 시즌을 스키장 개·폐장 시기에 맞춰 전년 12월부터 다음해 2월까지로 봄.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스키장 안전사고 접수 현황 ]

(단위 : 건)

구분’14∼’15 시즌’15∼’16 시즌’16∼’17 시즌’17∼’18 시즌’18∼’19 시즌합계
접수 건145107240160109761

‘16~‘17 시즌에 스키장 안전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원인 분석 및 실태조사(한국소비자원, 2018.1.)를 통해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한 이후 전체 사고건수는 대폭 감소*했으나 골절, 뇌진탕 등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사고는 여전히 다발(50.9%)하고 있어 스키장 이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16~’17 시즌 대비 ’18~’19 시즌 54.6% 감소

최근 2년간('17∼'18 시즌, '18∼'19 시즌) 접수된 안전사고 269건을 분석한 결과, 스키장 이용 중에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다친 사고가 92.6%(249건)로 가장 많았다. 주로 슬로프에서 발생한 사고였으나, 리프트 하차지점에서 내리다가 넘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슬로프 가장자리의 펜스, 스키 폴대 등에 부딪히거나 이용자 간에 충돌한 사고가 4.1%(11건)를 차지했다.

상해 부위는 `팔·손' 35.7%(96건), `둔부·다리·발' 27.9%(75건), `머리·얼굴' 18.9%(51건), `목·어깨' 11.5%(31건) 순이었다. 특히 `팔·손', `둔부·다리·발', `목·어깨' 관련 상해 202건 중 69.8%(141건)는 근육, 뼈 및 인대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해증상별 상해부위 현황 ]

(단위 : 건,%)

구분팔·손둔부·다리·발머리·얼굴목·어깨몸통기타합계(비율)
근육, 뼈 및 인대 손상골절57325216-121(45.0)
염좌(삠)916-1--26(9.7)
탈구1113--6(2.2)
소계67496256-153(56.9)
타박상2824967-74(27.5)
뇌진탕--16---16(5.9)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1218--122(8.2)
기타손상--2--24(1.5)
합계96755131133269(100.0)

상해 증상은 `골절'이 45.0%(121건)로 가장 많았고, `타박상' 27.5%(74건), `염좌(삠)' 9.7%(26건) 등의 순이었다. 골절의 경우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고, 다리 부위에 타박상을 입을 경우 종종 무릎이나 발목부위의 인대 파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뇌진탕'을 입은 경우도 5.9%(16건)였는데, 뇌진탕 등 외상성 뇌손상의 경우 기억상실이나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스키는 멈추는 기술이 미흡하면 두 발이 과도하게 벌어져 다리를 다칠 수 있고, 스노보드는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으면서 팔, 어깨 부위를 많이 다칠 수 있어 보호 장구 착용이 필수적이다.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스키장 이용자들에게 ▲부상 없이 넘어지는 방법 등 기초 강습을 철저히 받을 것, ▲사전에 충분히 준비운동을 할 것, ▲반드시 안전모, 보호대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할 것, ▲실력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할 것, ▲상해보험 등 보험 가입을 고려할 것 등 스키장 이용 안전수칙의 준수를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19-12-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79 『위궤양』 스트레스 예방 및 올바른 식습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7.09.04
3378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Emergen-C(24팩)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12.22
3377 건조한 4월, 산불·황사·농기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0.03.26
» 스키장 안전사고의 45.0%가 골절사고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12.24
3375 스토케(Stokke) 유아용 바운서(Steps bouncer, Newborn Set) 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9.20
3374 Maxzen 냉온풍기, 화재 발생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4.11
3373 Oil & Carol 목욕완구,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3.12
3372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09.25
3371 교통사고로부터 자녀를 보호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08.25
3370 오락가락 장마 속 본격 무더위 시작, 7월말~8월초 온열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7.24
3369 Sudali Toys 병원놀이 완구(Doctor Toy Set), 유해물질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12.06
3368 NVIDIA Shield의 유럽형 전원어댑터,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10.23
3367 2017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09.18
3366 쿠션 조각 섭취 시 질식 위험 있는 CLEK 유아용 카시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22.03.10
3365 Red Crown 가성소다,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20.05.21
3364 비스페놀류 등 체내 노출 낮은 수준, 위해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20.04.09
3363 Lil’Sidekick 영유아 물품고정끈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9.09.23
3362 갑작스런 한파, 노년층 한랭질환 특히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9.02.11
3361 허용되지 않은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수입 기타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8.12.11
3360 대구·경북지역 유사콘도회원권 소비자피해 지속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09.20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