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 모두 정식 개소


-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개소식 개최 (12.20)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해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모두 정식개소했다고 밝혔다.

 ○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통합(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핵심기관으로 전국 256개 보건소에 단계적으로 설치해 왔다.

 ○ 그간 임시로 개소했던 센터는 보건소 등에서 필수 인력으로 상담, 검진, 등록관리 등 일부 필수 업무만 운영해왔으나, 앞으로는 모든 센터에서 치매쉼터, 가족까페, 가족교실 등 다양하게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치매안심센터는 ‘17.9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이후 ‘17.12월 경남 합천에서 처음으로 개소한 이래 ’18.12월 166곳 개소를 거쳐 올해 256개 모두 정식개소하였다.

 ○ 치매안심센터는 그간 상담, 치매선별‧진단검사 실시, 인지지원프로그램 운영, 쉼터, 치매안심마을 조성, 치매공공후견 사업, 치매노인 지문 사전등록 등 치매환자 및 가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 그 결과, 올해 11월 말 기준 전체 치매환자(79만 명)의 57.6%인 45만 5000명을 치매안심센터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심층상담(383만 건), 선별검사(425만 건), 진단검사(33만 건), 사례관리(7만4000건)의 사업운영 성과를 올렸다.

 ○ 특히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쉼터, 가족 자조모임, 가족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높았다.

    * 중앙치매센터 시행「2019 치매안심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종합만족도 지수가 100점 만점에 90.0점(2018년에는 88.7점)

 

치매안심센터 프로그램 이용 사례

1. 송ㅇㅇ, 78(강릉, 치매 어르신)

) 계속 기억력이 쇠퇴하는 것 같아 올해 초 다시 검진을 받음

)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 조기진단을 받은 후 치매약제비 지원도 받고 쉼터도 이용하는 등 많은 도움을 받고 있음

2. 김ㅇㅇ, 81(양평, 치매 어르신)

) 혼자 지내다 보니 심심하기도 하고 끼니 챙기는 것도 귀찮았음

) 쉼터 이용 후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지내니 기억력도 더 좋아지는 것 같음.

3. 김ㅇㅇ, 38(서울, 치매안심센터 직원)

) 관내 어르신이 치매진단 후에도 관리받지 못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고생하심

)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신청 후 어르신 치매치료를 위한 병원동행, 배외예방 서비스, 장기요양등급 신청 등 지원을 통해 어르신이 점차 산책도 하고 간단한 음식조리도 하며 즐거워하시는 모습에 흐뭇해 짐

 

 

 


□ 한편, 정부는 내년에 치매국가책임제 내실화를 위해 경증치매 환자 돌봄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춰 치매안심센터 쉼터 이용시간을 확대하고(기존 1일 3시간→최대 7시간), 이용 기한도 지방자치단체 재량에 따라 연장할 수 있도록(현재 최대 6개월) 할 계획이다.

 ○ 또한 전문인력을 노인복지관 및 경로당에 파견하여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안심센터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보건지소 등 기존 기반시설(인프라)을 활용하여 분소도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 그 외에도 통합돌봄사업(커뮤니티 케어)과 연계하여 장기적으로 치매안심센터가 지역사회 노인돌봄 사례관리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전주시는 치매안심센터에 케어안내 창구를 설치하여 치매안심센터를 돌봄 사각지대 노인 발굴·관리의 전달체계로 활용

□ 보건복지부 양성일 인구정책실장은 12월 20일(금) 정식 개소한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개소식에 참석하여 정식개소를 축하하였으며, 센터 시설과 운영 현황을 둘러보고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하였다.

 ○ 이 자리에서 양성일 실장은 “강릉은 지난 4월 옥계면 대형산불로 인한 아픔을 딛고 치매국가책임제의 기반을 구축한 사례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 또한 “인구고령화에 따라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앞으로도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안심하고 지낼 수 있도록 관계자들이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참고 > 1.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운영 현황
2.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시설


[보건복지부 2019-12-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25 소하천 무단 점유·사용·파손 행위에 벌칙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0
5824 소하천 토지변경 없으면, 점용허가 끝나도 원상복구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4 11
5823 소형 가전제품 구입 시 KC인증 취소여부 등 안전인증정보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34
5822 소형 신축주택 추가 구입시 취득세 최대 42백만원 절감 등 주거공급 활성화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9 52
5821 소형 의류건조기, 건조도·소음 등 주요 성능 차이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3
5820 소형 전기밥솥, 보온 후 밥맛·취반시간 등 성능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20
5819 소형 카트리지형 아산화질소 제조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6
5818 소형 카트리지형 아산화질소는 구입할 수 없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27
5817 소형화물차(총중량 3.5톤 이하) 충돌사고 안전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1
5816 속 불편한 한국인…5명 중 1명, 1000만명이 소화계통 질환 경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27
5815 속눈썹 접착제, 다수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0 59
5814 속눈썹펌제 관리방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8 28
5813 속칭 ‘대포차’ 내달 10일부터 한 달간 집중단속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5 35
5812 손·팔 이식도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4 37
5811 손가락 끼일 위험 있는 실버크로스 유모차 판매중지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61
Board Pagination Prev 1 ...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