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공유방 안전사용을 위한 안내서’발간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인공유방을 사용하는 의료인이나 환자 등의 안전사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인공유방 안전사용을 위한 안내서’를 발간하여 대한성형외과학회 및 대한성형외과의사회를 통해 전국 병원 등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안내서는 인체로 이식되는 의료기기인 인공유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발생가능한 부작용 등을 안내하여 안전하고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 주요 내용은 ▲인공유방의 정의와 종류 ▲인공유방 이식 후 부작용 ▲환자를 위한 안전정보 등이다.

〈 인공유방의 정의와 종류 〉
○ 인공유방이란 실리콘 재질의 주머니 내에 실리콘겔 또는 생리식염수가 채워져 있는 여성의 가슴 형태의 것으로 선천적 기형, 유방암, 사고 등으로 인해 손실된 유방의 재건이나 확대 등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기로 판매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안전성·유효성 심사 등을 거쳐야 한다.
- 종류로는 ‘실리콘막 인공유방’과 ‘실리콘겔 인공유방’이 있으며 형태적으로 둥근 라운드형과 물방울형 등이 있다.
※ 실리콘막 인공유방: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주머니 내부에 생리식염수를 채우는 제품으로 미리 채워진 것과 시술 중에 채울 수 있는 것으로 나뉜다.
※ 실리콘겔 인공유방: 실리콘 주머니 안에 부드럽고 점탄성이 있는 실리콘 겔(코헤시브겔)로 채워진 제품을 말한다.
○ 인공유방이나 의료기기에 대한 허가 정보를 확인하려면 ‘의료기기 제품정보방’에 품목명(제품명)을 입력하면 허가사항의 세부 내용까지 확인할 수 있다.
※ 의료기기 제품정보방: www.mfds.go.kr/med-info

〈 인공유방 이식 후 부작용 〉
○ 인공유방 이식 후에 일반적인 부작용은 인공유방 주위가 딱딱해지는 현상(구형구축)과 외피가 찢어지는 파열 현상이 있다.
- 구형구축은 이식 후 주변 주직이 딱딱해지는 증상으로 염증과 통증 등이 나타나며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파열 현상은 외피에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것으로 이식 기간이 길수록 파열될 확률도 높아진다.
○ 또한 절개 부위에서의 비대칭, 흉터, 통증, 감염 등이 생길 수 있고 인공유방의 수축, 가슴모양의 비대칭, 유두/가슴의 민감도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환자를 위한 안전정보 〉
○ 환자는 수술 전에 이식 후 제거 또는 부작용 발생으로 인한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인공유방 수술 관련 정보를 자세히 확인하고 의사와 충분이 상의한 후 이식 등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인공유방의 종류 및 형태, 절개부위(겨드랑이, 유륜주위, 가슴밑선), 이식(삽입)위치(가슴근육의 아래, 유선 아래) 등도 확인해야 한다.
- 인공유방을 제거하는 경우 자연상태의 가슴에 비해 미용적으로 원치 않은 처짐이나 주름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점도 알아두면 좋다.
- 자신의 건강상태, 병력 및 임신 가능성에 대해 알려야 하고 수술 바로 전에는 식사와 물을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 수술 후에는 하부 와이어가 없는 헐렁한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것이 좋고 최소한 2주 동안 맥박과 혈압이 올라가는 격렬한 운동은 삼가해야 한다.
- 만일 출혈, 발열, 미열, 가슴의 홍조, 감염의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 평상시에도 비대칭적인 변화 등 가슴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며 2~3년 간격으로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 파열 등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식약처는 이번 안내서를 통해 환자나 의사 등이 인공유방과 이식 등의 수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인공유방이 추적관리 대상의료기기인 만큼, 제조·수입부터 판매·사용까지 모든 경로를 꼼꼼이 점검하여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정보자료→ 홍보물자료→ 일반 홍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11-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50 자고 일어나면 온몸이 뻣뻣하고 압통이 느껴지는『섬유근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303
12249 심평원,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적정성 평가(4차) 결과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76
12248 식품.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통합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84
12247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2분기 안전인증 취소 목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155
12246 하도급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8
12245 금융 민원-분쟁처리 개혁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2244 중국·동남아 여행상품, 여행자 권익 중심으로 바뀐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8
12243 중복된 에너지 설계기준, 친환경주택으로 통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3
12242 ‘흡연은 스스로 구입한 질병입니다’ 보건복지부, 두 번째 금연홍보 시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2241 청소년 흡연율 10년내 최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 인공유방 사용 시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2239 블랙프라이데이, 해외구매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77
12238 2015년 하반기부터 금융사기 피해 현저히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81
12237 김장철 배추김치·양념류 원산지 위반 집중단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83
12236 겨울철 철도안전관리 강화 본격 시동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79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