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손상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

 ◇ 지난 10년간(‘08년-‘17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대비 약 1.2배 증가)
  - 남자의 비율(57.4%)이 높고,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발생
  - 운수사고(35. 4%) 및 추락·낙상(34.3%)이 대부분 차지
◇ 조사결과 공유와 손상 예방 논의를 위한「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개최(12.18)
 

  * 손상 : 질병 이외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다치는 것, 즉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나 정신건강에 미치는 해로운 결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08-2017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한 결과를 12월 18일에 발표했다.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 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 실시(통계청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117060호)

  ○ 지난 10년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98만 3976명→’17년 120만 6345명, 약 1.2배)하였고, 평균 연간 112만 4,228명(전체 퇴원환자의 17.6%), 한 달 9만 3,686명, 하루 3,080명을 차지했다.                      
  

<손상 입원 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8-2017>  : 그림 붙임 참조

  
  - (성별) 남자의 비율(57.4.0%)이 여자(42.6%)보다 높고, 비의도성 손상(95.1%)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연령별) 연령이 높아질수록 손상입원환자가 증가하고,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의 약 50%로 나타났다.

  - (원인별) 운수사고(35.4%)와 추락·낙상(34.3%)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외 부딪힘(12.3%) 및 자상(3.5%)이 주요 손상원인이었다.

  - (부위별) 손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척추(22.1%), 외상성뇌손상(14.6%), 무릎 및 아래다리(11.1%) 순으로 나타났다.


< 2008-2017년간 평균 손상 입원환자의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전체 입원환자 중 손상 규모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 국가손상감시사업에서 생산된 통계치는 2010년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정책’의 주요 지표로 선정되었고, 2015년부터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20)의 손상예방 지표로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그간의 국가손상감시사업의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손상예방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12월 18일 (수) 「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

      * (일시) 2019.12.18.(수) 9:30~17:30 / (장소) 롯데호텔서울(서울시 중구 소재)

 ○ 향후 「2006-2017년 퇴원손상심층조사 통계집」은 내년 상반기에 발간하여  17개 시·도, 의료기관 및 관련 학회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손상은 예방 가능한 영역으로써 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상 발생규모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선결되어야 하며,

 ○ 질병관리본부는「국가손상감시사업」을 통해 손상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지킬 수 있는 손상 예방수칙을 보급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12-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09 난연성 표준 준수하지 않아 화상 위험있는 HulovoX 유아용 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5.04
1608 세인트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5.04
1607 청년층 대상 고액 아르바이트 사칭 현금 수거책 모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2.22
1606 낙상, 질식 등의 위험 있는 PHONENIX 어린이용 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1.29
1605 작은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MamiHome 우든 팬던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1.04
1604 가스가 누설되는 Dometic 차량용 가스쿡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1.03
1603 발수 기능이 미흡한 Karrimor 남성용 재킷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6.24
1602 어린이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1.28
1601 일방적 민원 취하 간주, 이유 알려 반려로...자치법규 정비해 민원인 권익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12.03
1600 레전더리(Laegendary) 유아용 코스튬 의상,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05.21
1599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19.03.12
1598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4.06.14
1597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과다 함유한 SEA 700 유아용 튜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11.16
159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TANSHOP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6.13
1595 파손되며 소형 부품 발생해 질식 위험 있는 Earsoon 목욕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4
1594 작은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KURT S. ADLER 트리 오너먼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4
1593 질식 위험으로 주의보 발령된 podster 신생아용 라운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4
1592 일부 조화 제품에서 환경에 유해한 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5
159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Country Time 음료 가루[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3.08
1590 금속 이물질 혼입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다크 초콜릿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2.10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