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손상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

 ◇ 지난 10년간(‘08년-‘17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대비 약 1.2배 증가)
  - 남자의 비율(57.4%)이 높고,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발생
  - 운수사고(35. 4%) 및 추락·낙상(34.3%)이 대부분 차지
◇ 조사결과 공유와 손상 예방 논의를 위한「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개최(12.18)
 

  * 손상 : 질병 이외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다치는 것, 즉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나 정신건강에 미치는 해로운 결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08-2017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한 결과를 12월 18일에 발표했다.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 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 실시(통계청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117060호)

  ○ 지난 10년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98만 3976명→’17년 120만 6345명, 약 1.2배)하였고, 평균 연간 112만 4,228명(전체 퇴원환자의 17.6%), 한 달 9만 3,686명, 하루 3,080명을 차지했다.                      
  

<손상 입원 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8-2017>  : 그림 붙임 참조

  
  - (성별) 남자의 비율(57.4.0%)이 여자(42.6%)보다 높고, 비의도성 손상(95.1%)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연령별) 연령이 높아질수록 손상입원환자가 증가하고,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의 약 50%로 나타났다.

  - (원인별) 운수사고(35.4%)와 추락·낙상(34.3%)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외 부딪힘(12.3%) 및 자상(3.5%)이 주요 손상원인이었다.

  - (부위별) 손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척추(22.1%), 외상성뇌손상(14.6%), 무릎 및 아래다리(11.1%) 순으로 나타났다.


< 2008-2017년간 평균 손상 입원환자의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전체 입원환자 중 손상 규모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 국가손상감시사업에서 생산된 통계치는 2010년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정책’의 주요 지표로 선정되었고, 2015년부터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20)의 손상예방 지표로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그간의 국가손상감시사업의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손상예방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12월 18일 (수) 「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

      * (일시) 2019.12.18.(수) 9:30~17:30 / (장소) 롯데호텔서울(서울시 중구 소재)

 ○ 향후 「2006-2017년 퇴원손상심층조사 통계집」은 내년 상반기에 발간하여  17개 시·도, 의료기관 및 관련 학회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손상은 예방 가능한 영역으로써 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상 발생규모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선결되어야 하며,

 ○ 질병관리본부는「국가손상감시사업」을 통해 손상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지킬 수 있는 손상 예방수칙을 보급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12-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7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0.04.20
2770 전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4.22
2769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고수익 보장’에 충동계약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4.22
2768 WTI원유 선물 연계 ETN, ETF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0.04.23
2767 장난감으로 인한 가정 내 어린이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0.04.23
2766 말라리아 발생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0.04.24
2765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4.27
2764 무더위 시작 전, 에어컨 안전점검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0.04.27
2763 선불카드를 통한 긴급재난지원금 수령 및 이용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04.28
2762 인체에 사용 불가한 살균·소독제 일부가 손소독제인 것처럼 판매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4.28
2761 코로나19 정부지원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스미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29
276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04.29
2759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0.04.29
2758 해외 여행사 ‘Travelgenio, Travel2be’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0.05.07
2757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5.07
275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0.05.11
2755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5.12
2754 '과산화수소' 직접 먹어서는 절대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0 2020.05.14
2753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5.14
2752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손 위생용품 바로 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5.14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