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손상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

 ◇ 지난 10년간(‘08년-‘17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대비 약 1.2배 증가)
  - 남자의 비율(57.4%)이 높고,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발생
  - 운수사고(35. 4%) 및 추락·낙상(34.3%)이 대부분 차지
◇ 조사결과 공유와 손상 예방 논의를 위한「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개최(12.18)
 

  * 손상 : 질병 이외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다치는 것, 즉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나 정신건강에 미치는 해로운 결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08-2017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한 결과를 12월 18일에 발표했다.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 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 실시(통계청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117060호)

  ○ 지난 10년간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98만 3976명→’17년 120만 6345명, 약 1.2배)하였고, 평균 연간 112만 4,228명(전체 퇴원환자의 17.6%), 한 달 9만 3,686명, 하루 3,080명을 차지했다.                      
  

<손상 입원 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8-2017>  : 그림 붙임 참조

  
  - (성별) 남자의 비율(57.4.0%)이 여자(42.6%)보다 높고, 비의도성 손상(95.1%)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연령별) 연령이 높아질수록 손상입원환자가 증가하고,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의 약 50%로 나타났다.

  - (원인별) 운수사고(35.4%)와 추락·낙상(34.3%)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외 부딪힘(12.3%) 및 자상(3.5%)이 주요 손상원인이었다.

  - (부위별) 손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척추(22.1%), 외상성뇌손상(14.6%), 무릎 및 아래다리(11.1%) 순으로 나타났다.


< 2008-2017년간 평균 손상 입원환자의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전체 입원환자 중 손상 규모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 국가손상감시사업에서 생산된 통계치는 2010년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정책’의 주요 지표로 선정되었고, 2015년부터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20)의 손상예방 지표로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그간의 국가손상감시사업의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손상예방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12월 18일 (수) 「2019년 국가손상감시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

      * (일시) 2019.12.18.(수) 9:30~17:30 / (장소) 롯데호텔서울(서울시 중구 소재)

 ○ 향후 「2006-2017년 퇴원손상심층조사 통계집」은 내년 상반기에 발간하여  17개 시·도, 의료기관 및 관련 학회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손상은 예방 가능한 영역으로써 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상 발생규모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선결되어야 하며,

 ○ 질병관리본부는「국가손상감시사업」을 통해 손상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지킬 수 있는 손상 예방수칙을 보급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12-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8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Hicarer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3 2022.06.13
158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lymind 펜던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5 2022.06.13
1587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Ushin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4 2022.06.13
158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learine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22.06.13
158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IYOU 허리 체인 장신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7 2022.06.13
1584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OONE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7 2022.06.13
1583 카드뮴 및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een 팔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22.06.13
1582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1 2022.06.14
1581 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8 2022.06.14
158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ystalTears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9 2022.06.14
157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Milacolato 발찌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3 2022.06.14
157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Tasnunisa 귀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2 2022.06.14
1577 하이드퀴논 과다 함유한 Dream Cosmetics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4 2022.06.14
1576 프탈레이트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및 질식 위험 있는 SYZ 비치볼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7 2022.06.14
1575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Awfuuly Posh 스낵(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3 2022.06.14
1574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Awfuuly Posh 스낵(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22.06.14
1573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Pub Original 스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1572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4 2022.06.14
1571 시안화수소산 과다 함유한 Alnatura 견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8 2022.06.14
1570 화청 주식회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2.06.16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