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한국인 노인고혈압 적정관리 기준 마련 필요 -

◇ 노인고혈압 환자에서 치료 목표 혈압에 따른 사망률과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분석 결과,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한 치료군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률 감소로 나타났으며, 부작용 발생에서 차이가 없었음
◇ 노인고혈압 환자에서 고혈압치료가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거나 치매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근거가 없었음
◇ 한국인 노인고혈압 환자에 대한 목표 혈압 임상비교 연구결과가 없어, 한국 노인 고혈압의 적정관리를 위한 중재임상연구가 필요함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직무대리 박현영)은 ‘노인 취약계층에서의 고혈압 관리 최적화를 위한 근거창출 및 관리모형개발’(총괄연구책임자 충북의대 조명찬 교수)연구를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하고 있다.
   * 노인고혈압 환자의 치료 목표 혈압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 영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시행

 ○ 연구진(서울의대 윤재문 교수)은 결과를 통해, 노인고혈압 환자에서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치료한 군이 통상적 치료군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률 및 모든 원인 사망률을 30% 이상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 “노인고혈압 환자에서 적극적인 혈압조절이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을 예방하고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 해당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5개의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 연구들이 포함되었다(붙임 1).
   - 각 연구마다 노인고혈압 환자에서의 목표 혈압이 다르지만, 통상적 치료군에 비해 더 낮은 목표혈압으로 치료한 군에서 심혈관질환 발생과 사망률 모두 감소했다.

   - 심혈관질환 발생은 20%, 심혈관질환 사망률을 35%, 모든 원인 사망률을 32%까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부전 발생은 38%까지 감소시켰다. 그러나 부작용 측면에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한편, 연구진은 노인고혈압 환자에서 고혈압 치료가 인지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총 3편 연구 포함)를 추가로 수행한 결과,

 ○ 노인고혈압에서 약물치료를 하거나, 더 낮은 목표혈압으로 치료하여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인지기능 저하나 치매 발생에서 차이는 없었다.

□ 최근, 고령에서 목표 혈압을 너무 낮게 잡으면 고혈압 치료의 이득은 크지 않고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 본 연구결과는 고령의 고혈압 환자에서도 적극적인 혈압조절이 부작용 없이 심뇌혈관질환 발생과 사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그러나, 연구진은 “고령에서 목표혈압에 따른 임상적 효과를 비교한 양질의 연구가 많지 않았고, 한국에서는 관련 연구가 시행된 바도 없어 한국인에 맞는 노인고혈압 관리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포함한 양질의 국내 임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고혈압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 질환 중 의료비 부담이 가장 높은 단일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최근, 노인의 연령, 성별, 인종, 노쇠정도 등에 따라 고혈압 환자에서의 적정목표혈압에 차이가 있고, 너무 낮은 목표혈압으로의 치료조절은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률을 오히려 높이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한국인 노인고혈압 환자의 적정목표혈압 설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생산 및 국내 진료지침 개발을 위해 “노인 취약계층에서의 고혈압 관리 최적화를 위한 근거창출 및 관리모형개발”과제를 지원하고 있고,

 ○ 이를 위해 본 과제에서 한국 노인고혈압 환자에서는 처음으로 목표혈압 중재 연구인 HOWOLD-BP 연구*를 기획하여 수행하고 있다(붙임3).
   * 연구 제목 : 노인고혈압 대상자에서 고혈압 치료 시 목표 혈압에 따른 예후 분석(HOWOLD-BP, HOW to Optimize eLDly systolic Blood Pressure Trial)

 ○ 향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인 노인고혈압 환자의 목표혈압 기준 마련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들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본 연구과제는 우리나라 노인 고혈압 환자에서의 적정 목표혈압기준 마련을 위한 첫 번째 임상 중재연구로서,

 ○ 한국인 노인고혈압 환자에서의 적정 목표혈압 기준 및 환자 특성별 맞춤형 관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장기추적조사 계획을 마련 중에 있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12-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45 정부, 불합리한 안전규제 정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3
8044 국내 판매 주류 20개 중 1개 제품만 영양성분 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치료할 경우 노인고혈압 환자 사망률 32% 감소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9
8042 25~64세 생계급여 수급자의 근로·사업소득 30%까지 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8041 영세 중소 가맹점 권익제고를 위한 가맹점 표준약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8
8040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33
8039 2018년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0
8038 2019년 하반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22
8037 2020년 부동산 가격공시 및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24
803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24
8035 경부선 광역전철(수도권 1호선) 급행확대로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2
8034 병원에서도 치료 목적으로 온천수 사용 가능. 의료관광 활성화 전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9
8033 12월은 자동차세 납부의 달. 위택스, 은행앱으로 편하게 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3
8032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1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9
8031 화장품 품질.안전관리 교육, 온라인으로 수강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78
Board Pagination Prev 1 ...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