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 93.7%, 사물인터넷 제품 가격에 부담 느껴

- 품질, 보안에 대한 신뢰도 낮아 -

이 자료는 11월 16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1월 15일 12시)

산업 분야에 국한되어 활용되던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소비제품에 널리 적용되면서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지만, 품질이나 보안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는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사람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소통하는 기술 또는 환경을 의미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3.7%의 소비자들은 사물인터넷 제품·서비스의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품질은 55.3%, 보안은 36.9%만이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이용경험은 스마트TV, 관심도는 스마트 방범시스템이 높아

보유·이용경험이 있는 사물인터넷 제품·서비스로는 스마트TV(38.2%), 스마트블랙박스(20.3%), 스마트조명기기(10.9%), 스마트워치(10.4%)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또한 소비자 관심도는 스마트방범 시스템(85.5%), 스마트 블랙박스(84.6%), 스마트건강 기기 및 서비스(83.5%), 스마트 난방시스템(8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 

작동편이성, 품질기능에서 만족도 높아

사물인터넷 제품·서비스 이용·보유 경험자(519명)의 만족도는 작동편이성(49.9%), 품질기능(49.7%), 디자인(43.9%) 등의 순으로 높았다. 한편, 소비자 불만족이 높은 항목은 제품가격(35.8%), 서비스이용요금(20.4%), 개인프라이버시 및 보안(15.6%), 비용절감 기대효과(14.1%)의 순이었다.

또한 이들이 제품이나 서비스 이용 중 피해를 입은 비율은 6.7%로 나타났다. 소비자피해 유형으로는 기기오작동, 허위과장 표시광고, 기능불량, A/S불이행, 서비스 계약불이행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향후 1년 내 구입의향 스마트워치 가장 많아

향후 1년 내 구입의향이 있는 사물인터넷 제품으로는 스마트워치(26.2%), 스마트 블랙박스(26.1%), 스마트TV(24.9%) 등을 많이 꼽았다.

2 

▣ 사물인터넷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소비자 우려 매우 높아

사물인터넷 제품·서비스 이용 시 우려되는 점으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93.0%), 해킹 피해(92.7%), 개인데이터 공유(92.1%), 제품 오작동(91.0%), 이용내역정보에 따른 차별적 불이익(83.0%) 등을 지적한 비율이 높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신뢰에 기초한 사물인터넷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거래규범 정착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관계 당국에 건의하였다.


[한국소비자원 2015-11-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4 「안심상속」사망자 재산조회 서비스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7
1603 4등급 경유차와 굴착기·지게차도 조기 폐차 보조금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8
1602 국민권익위, “욕설·비방만 담긴 행정심판 청구는 별도 절차 진행 없이 종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26
1601 국민권익위, “일시적인 세대 분리 가구에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는 지나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5
1600 국민권익위, “공단·공사 등 공공기관 대상 공익신고도 보상금 받을 수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3
1599 최근 10년 간, 성인 및 중‧고등학생 모두 비만 유병률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40
1598 면역저하자 중증·사망 예방 위한 동절기 추가접종 요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2
1597 일부 어린이 헤드셋,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46
1596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 3월 15일까지,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 31일까지 보험료 신고.납부해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4
1595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7
1594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선임 요양보호사 배치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34
1593 질병청,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예방접종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70
1592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37
1591 2022년 주민등록 사실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8
1590 나의 안전실천 역량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42
Board Pagination Prev 1 ...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