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 실내에서 많이 발생해 일상생활에서의 예방이 중요 -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자의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수집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안전사고는 총 22,677건**으로 전체 안전사고의 8.4%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이「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16년) 5,795건, (’17년) 5,653건, (’18년) 6,340건, (’19년 9월) 4,889건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치료기간이 1개월 이상 소요되는 안전사고의 비율(13.3%)이 65세 미만 연령대(0.6%)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고 예방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고령자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이 낙상사고

고령자 안전사고의 위해원인은 미끄러짐·넘어짐, 추락 등 ‘낙상 사고’가 56.4%(12,802건), 손상증상은 ‘골절’이 26.8%(6,067건)로 가장 많았고, 주로 다치는 부위는 ‘머리 및 얼굴’ 27.2%(6,158건), ‘둔부, 다리 및 발’ 24.8%(5,635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 (’16년) 2,746건, (’17년) 3,453건, (’18년) 3,829건, (’19년 9월) 2,774건

발생장소는 ‘주택’이 63.4%(14,378건)로 절반 이상이었고, ‘숙박 및 음식점’이 5.7%(1,299건), ‘도로 및 인도’가 3.8%(868건)로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주택 내 ‘침실·방’(18.5%/4,191건), ‘화장실·욕실’(12.2%2,770건)에서 발생한 사고가 많았다.

사고 유발품목은 ‘바닥재’ 26.8%(6,079건), ‘침실가구’ 7.6%(1,717건), ‘계단 및 층계’ 5.7%(1,282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겨울철에 많고 골절이 다수

고령자 낙상사고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부 활동이 많은 ‘겨울(27.2%/2,728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증상으로는 ‘골절’이 44.5%(5,701건)로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절사고는 치료기간이 ‘2주 ~ 4주(1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94.4%로 대부분이었으며, 사망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어 낙상사고로 골절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경운기 사고 줄고 의료용 침대 사고 늘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의료용 침대 등 고령자의 사고 비율이 높은 상위 5개 제품*의 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낙상사고’(63.1%/564건)가 가장 많았다.

* 동력경운기, 동력탈곡기, 보행차 및 보행보조차, 의료용 침대, 휠체어

품목별로는 ‘동력경운기*’로 인한 사고가 2016~2017년에 가장 많았으나, 2018년 이후에는 ‘의료용 침대**’로 인한 사고가 다발하고 있어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심이 요구된다.

* 65세 이상 동력경운기 안전사고 : (’16년) 206건, (’17년) 129건, (’18년) 62건, (’19년 9월) 42건

** 65세 이상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 (’16년) 47건, (’17년) 67건, (’18년) 87건, (’19년 9월) 65건

고령자는 사고발생 시 중상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회복기간도 길어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고령자 안전사고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고령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안전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안전정보를 제공해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사전 예방 방안에 대해서는 ‘[붙임2] 고령자 낙상사고 예방 수칙’ 확인



[ 한국소비자원 2019-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2 온라인쇼핑몰 ‘엄마가게(맘앤마트)’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1.06
2931 온라인쇼핑몰 ‘스타일브이’ 배송 및 환급 지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9.02
2930 온라인쇼핑몰 ASTERZON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14
2929 온라인상 불법금융 유혹에 현혹되면 한순간에 불법사채의 굴레에 빠지거나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2.27
2928 온라인 호텔 예약 대행 업체 ‘㈜본보야지(에바종)’ 연락두절 등으로 소비자 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11
2927 온라인 해외직구 의약품은 안전과 효과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1.08
2926 온라인 판매 차량용 인조 가죽시트커버, 대부분 내인화성 없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2 2017.02.21
2925 온라인 쇼핑몰 이용 시 카드정보 등 개인정보 유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14
2924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03
2923 온도조절장치 하자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Girmi 가정용 튀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6.24
2922 온․오프라인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 중금속 검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6.29
2921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2.08
2920 옥상 외식시설(루프탑), 난간 낮아 안전사고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5 2017.11.30
2919 오픈쇼핑 / KOREAMIOP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7
2918 오픈박스 아레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6.27
2917 오픈마켓 경유 사기사이트 FLEX-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6
2916 오픈리퍼 / LIPPERK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3.07.05
2915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914 오토바이 브레이크 마찰재에서 석면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2.04
2913 오케이몰 사칭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05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