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 실내에서 많이 발생해 일상생활에서의 예방이 중요 -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자의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수집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안전사고는 총 22,677건**으로 전체 안전사고의 8.4%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이「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16년) 5,795건, (’17년) 5,653건, (’18년) 6,340건, (’19년 9월) 4,889건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치료기간이 1개월 이상 소요되는 안전사고의 비율(13.3%)이 65세 미만 연령대(0.6%)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고 예방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고령자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이 낙상사고

고령자 안전사고의 위해원인은 미끄러짐·넘어짐, 추락 등 ‘낙상 사고’가 56.4%(12,802건), 손상증상은 ‘골절’이 26.8%(6,067건)로 가장 많았고, 주로 다치는 부위는 ‘머리 및 얼굴’ 27.2%(6,158건), ‘둔부, 다리 및 발’ 24.8%(5,635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 (’16년) 2,746건, (’17년) 3,453건, (’18년) 3,829건, (’19년 9월) 2,774건

발생장소는 ‘주택’이 63.4%(14,378건)로 절반 이상이었고, ‘숙박 및 음식점’이 5.7%(1,299건), ‘도로 및 인도’가 3.8%(868건)로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주택 내 ‘침실·방’(18.5%/4,191건), ‘화장실·욕실’(12.2%2,770건)에서 발생한 사고가 많았다.

사고 유발품목은 ‘바닥재’ 26.8%(6,079건), ‘침실가구’ 7.6%(1,717건), ‘계단 및 층계’ 5.7%(1,282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겨울철에 많고 골절이 다수

고령자 낙상사고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부 활동이 많은 ‘겨울(27.2%/2,728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증상으로는 ‘골절’이 44.5%(5,701건)로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절사고는 치료기간이 ‘2주 ~ 4주(1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94.4%로 대부분이었으며, 사망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어 낙상사고로 골절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경운기 사고 줄고 의료용 침대 사고 늘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의료용 침대 등 고령자의 사고 비율이 높은 상위 5개 제품*의 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낙상사고’(63.1%/564건)가 가장 많았다.

* 동력경운기, 동력탈곡기, 보행차 및 보행보조차, 의료용 침대, 휠체어

품목별로는 ‘동력경운기*’로 인한 사고가 2016~2017년에 가장 많았으나, 2018년 이후에는 ‘의료용 침대**’로 인한 사고가 다발하고 있어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심이 요구된다.

* 65세 이상 동력경운기 안전사고 : (’16년) 206건, (’17년) 129건, (’18년) 62건, (’19년 9월) 42건

** 65세 이상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 (’16년) 47건, (’17년) 67건, (’18년) 87건, (’19년 9월) 65건

고령자는 사고발생 시 중상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회복기간도 길어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고령자 안전사고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고령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안전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안전정보를 제공해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사전 예방 방안에 대해서는 ‘[붙임2] 고령자 낙상사고 예방 수칙’ 확인



[ 한국소비자원 2019-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53 해외구매 소비자피해 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40 2015.11.17
4252 부품이 탈락할 수 있는 Mirari 기차장난감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31 2015.05.26
4251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Enlighten 장난감 총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30 2015.05.26
4250 부상 위험 있는 SCARPA 스키 부츠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26 2015.04.24
4249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위험 있는 살사소스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23 2015.04.10
424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10.∼2015.4.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21 2015.04.20
4247 Garnier 샴푸 및 컨디셔너(파파야), 식품으로 오인 할 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9 2021.02.25
424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9.∼2015.1.15.)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19 2015.01.16
4245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러지 위험 있는 Black Instant Coffee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14 2015.05.22
4244 기아자동차(주) 올뉴쏘렌토(UM) 차량, 변속레버 P단 해제 안되는 문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1 2020.05.22
4243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7 2022.06.14
4242 새로운 연애 트렌드 ‘소셜데이팅’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60 2015.05.26
4241 라벨에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위험있는 수플레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2 2015.04.23
4240 현대자동차(주) 베라크루즈 차량 앞유리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1 2016.07.18
4239 충전방법에 따라 고장위험이 있는 '소피루비 루비워치'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8 2017.04.26
4238 [공지] 판매사이트 핫드림몰, 드림1544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4 2015.09.10
4237 브레이크 패드를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시키는 HED 자전거 림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2 2016.08.09
4236 내장된 전지를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풍선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2 2015.10.28
4235 현대자동차(주) LF쏘나타 하이브리드 차량 도어래치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8 2016.10.04
423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17.∼2015.4.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6 2015.04.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